전체메뉴 검색
산업

​[기자수첩] 산업은행이라는 ‘가시’ 피하지 못한 HDC현산

이성규 기자 2020-08-13 16:14:36

 

[데일리동방] 지난해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공식화된 후 가장 극적인 장면을 꼽자면 주저 없이 HDC현대산업개발의 등장이라 말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와 인수 컨소시엄을 구성, 시장이 예상했던 가격 밴드 최상단인 2조5000억원을 써내면서 경쟁자들을 초라하게 만들 정도로 압도적인 모습이었다.

하지만 당시 위풍당당했던 HDC현산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인수무산’과 ‘상황 반전 기대’라는 키워드가 아시아나항공 매각의 현 상황을 대변할 정도로 움츠러든 모습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탓으로 모든 것을 돌리고 싶을 수 있다. 그러나 투자시장에선 그 이전부터 HDC현산의 행보를 이해하지 못했다. 왜 아시아나항공을 사려고 하는지, 항공업이 기존 주력 사업인 건설과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그러한 결정이 HDC그룹 발전과 성장을 위한 최선의 선택인지 등 각종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었다. 그렇다면 '문제' 근원지는 무엇이었을까.

인수·합병(M&A)은 ‘자본시장의 꽃’이라 불린다. 꽃 중에서도 장미에 가깝다. 화려한 모습에 취해 방심했다간 가시에 찔려 상처를 입게 된다. 만지고 싶다면 가시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그 위치가 어디인지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이조차 어렵다면 포장지로 감싸 조심스럽게 잡아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가시는 매물에 대한 리스크를 뜻한다. 인수자는 100%는 아니더라도 실사 과정에서 위험요인을 최대한 파악해야 한다.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확인했다면 해당 요인을 두고 매각자와 심도 있게 의견을 나눠야 한다. 이는 M&A에서 가장 중요한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 중 하나다. 만약 예상치 못한 변수를 모두 감내하겠다고 마음먹었다면 돈으로 다 ‘감싸’면 그만이다.

M&A가 기업의 성장 수단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은 지극히 단편적이자 결과론적 시선에 불과하다. 진짜 핵심은 인수자와 매각자 양측 주체가 각자 필요한 부분을 취하면서도 ‘가격’을 통해 서로가 짊어져야 하는 이익과 부담을 나눠 갖는 것이다. 그래야만 거래(deal)가 ‘아름다운 장미’로 보이게 된다.

기업가치는 절대적이 아닌 거래 주체 기준 상대적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아시아나항공 인수가에 대한 적정성은 미래만이 알고 있다. 그렇다면 HDC현산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 위해 모든 위험요인을 충분히 파악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문제는 금호산업과 HDC현산이 실사 문제를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만큼 현 상황에서 이를 명확히 판단하기도 어렵다는 점이다.

다만 HDC현산 입장에서 확실한 ‘가시’가 있다. 바로 한국산업은행이다. 제아무리 날고 기는 국내 대형 상업은행, 투자은행이라 하더라도 산은이 가진 파워와 행동력을 넘볼 수 없다. ‘채권단’이라는 수식어가 붙지만 ‘특수’은행으로서 ‘특수’한 행동을 하는 주체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린다. 최악의 상황에 처한 기업에 표정 하나 변하지 않고 손을 내밀 수 있는 등 차원이 다른 존재다.

명목상 HDC현산은 금호산업과 거래를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산은이 이번 M&A를 주도하고 있다. 한마디로 상대를 잘못 골랐단 얘기다. 지난 수년간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이 산은의 관리를 받는 기업들에 대해 유독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이유를 HDC현산은 정말 몰랐던 것일까. 아니면 산은을 단순 ‘채권단’으로만 치부한 것일까.

산은이라는 ‘가시’는 HDC현산에 ‘덫’이 된 것처럼 보인다. 설령 덫에서 빠져나오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상처는 남기 마련이다. 그간 아시아나항공 M&A를 취재하면서 들은 공통적 의견이 현재와 향후 전개될 상황을 여실히 나타낸다.

“HDC현산은 부채부담을 짊어질 것인가, 정부와 산은에 등을 질 것인가.”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