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넥슨이 기존 라이브 게임의 폭발적인 성장과 글로벌 신작들의 연타석 홈런에 힘입어 기업 가치 29조원 시대를 열었다. 이정헌 대표가 취임 이후 강력하게 추진해 온 'IP(지식재산권) 확장 전략'이 시장에서 확실한 신뢰를 얻으며 주가 고공행진을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다.
28일 도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넥슨(일본법인)은 전일 종가 기준 3768엔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3조1000억엔(한화 약 29조1000억원)을 돌파했다. 이는 2021년 4월 이후 약 4년 7개월 만에 달성한 최고 수준이다. 지난 11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3600~3700엔 대의 강세를 유지하며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번 주가 상승의 핵심 동력은 이정헌 넥슨 대표가 지난해 9월 도쿄 자본시장 설명회(CMB)에서 제시한 'IP 성장 전략'의 성공적인 안착에 있다. 당시 이 대표는 기존 IP의 수명과 매출을 늘리는 '종적 성장'과 새로운 IP를 발굴해 파이프라인을 넓히는 '횡적 성장'을 양대 축으로 삼아 2027년까지 매출 7500억엔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실제로 CMB 발표 직전인 2024년 9월 2일 종가(2889엔)와 비교하면 1년여 만에 기업 가치가 약 30.4% 상승했다.
◆ 메이플스토리 매출 3배 껑충…'마비노기 모바일'·'카잔'…글로벌 통했다
우선 '종적 성장' 측면에서는 넥슨 특유의 라이브 운영 노하우가 빛을 발했다. 넥슨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고도화된 운영 역량을 통해 장기 서비스 게임들의 매출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저력을 보였다.
특히 국내 '메이플스토리'는 이용자 친화적 업데이트와 소통 강화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약 3배나 급증하는 기염을 토했다. '던전앤파이터'(PC)와 'FC' 프랜차이즈 역시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며 캐시카우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여기에 글로벌 누적 판매 500만 장을 돌파한 하이브리드 해양 어드벤처 '데이브 더 다이버'와 일본을 비롯해 글로벌 서브컬처 시장에서 팬덤을 굳힌 '블루 아카이브' 등이 포트폴리오를 단단히 받치며 기업 가치 상승을 이끌었다.
올해는 '횡적 성장'의 성과가 특히 두드러졌다. 넥슨은 2025년을 기점으로 모바일, PC, 콘솔을 아우르는 멀티 플랫폼 게임사로 완벽하게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3월 출시된 '마비노기 모바일'은 원작의 감성을 모바일 환경에 완벽하게 이식하며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대상인 대통령상을 거머쥐었다. 같은 달 출시된 하드코어 액션 RPG '퍼스트 버서커: 카잔' 역시 최우수상과 기술창작상을 휩쓸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잡았다.
하반기 모멘텀은 더욱 강력하다. 넥슨의 스웨덴 자회사 엠바크 스튜디오가 개발해 지난 10월 30일 글로벌 출시한 '아크 레이더스'는 출시 2주 만인 11월 11일 기준 누적 판매량 400만 장을 돌파했다. 루트슈터 장르의 본고장인 서구권 시장에서 거둔 성과라 의미가 더욱 크다. 이어 11월 6일 출시한 방치형 RPG '메이플 키우기'까지 초기 흥행 돌풍을 일으키며 장르 다변화에 성공했다.
미래 먹거리 준비도 순항 중이다. 지난 6월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서 최고 인기 데모로 선정된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가 마비노기 IP의 확장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한 '프로젝트 오버킬',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등 던전앤파이터 IP 기반 신작들이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라 세계관 확장이 기대된다.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인 '낙원: LAST PARADISE', 넥슨게임즈의 신작 '우치 더 웨이페어러' 등 신규 IP 개발도 활발하다.
이정헌 넥슨 대표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IP 확장 전략에 따라 핵심 프랜차이즈와 신규 IP 모두의 성장에 가속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단단히 다지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일본 증권가에서는 넥슨이 신구 조화에 힘입어 올해 4분기 및 연간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넥슨이 '돈 잘 버는 게임사'를 넘어 '글로벌 IP 홀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며 한국 게임 산업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