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장소영의 오일머니] 중국, 석화 공장 폐쇄 본격화..."고부가 산업 전환 목표"

장소영 기자 2025-11-09 09:00:00
중국 상하이시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오일머니에서는 정유 석유화학 분야와 관련된 이슈 흐름을 짚어냅니다. 매주 쏟아져 나오는 기사를 종합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풀어내겠습니다. <편집자주>

중국이 석화업계 공급 과잉을 억제하기 위해 석화시설 19개를 단계적으로 폐쇄할 예정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중국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석유산업 재편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9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영 석유기업인 페트로차이나(CNPC)는 베이징의 과잉 생산능력을 억제하고 수익성을 증대하기 위해 노후화된 정유·석유화학 시설 19개를 영구적으로 폐쇄할 계획이다. '석유 공룡'이라 불리는 페트로차이나는 시노펙 다음으로 중국에서 가장 큰 석유회사다.

페트로차이나는 시설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석유 시설 1곳을 폐쇄하고 20년 이상 가동 중인 시설 18곳도 단계적인 폐쇄를 단행한다. 해당 19개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들은 노후 위험도가 낮아 계속 운영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다운스트림 사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석유시설 309개의 노후도를 검토 중이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페트로차이나는 하루 생산량이 4만 배럴 미만인 3곳을 포함한 43개의 원유 증류 시설 노후화를 점검한다. 
 
페트로차이나는 이 중 2곳의 상압증류공정(CDU) 시설이 고부가가치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계속 가동하기로 했다. 해당 CDU는 중질유를 윤활유로 처리하는 시설이다.  윤활유는 가솔린과 디젤과 같은 운송용 연료보다는 가치가 높다. 

앞서 페트로차이나는 정유 공장 규모를 축소하고자 하루 41만 배럴 규모의 중국 다롄 공장을 올해 초 폐쇄했다.

페트로차이나는 고부가가치, 친환경 분야로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페트로차이나는 전기차와 태양광 발전소에 사용되는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석화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페트로차이나만의 전략이 아닌 중국 자체의 석유산업 재편 흐름으로 보인다. 중국 최대 정유 회사인 시노펙도 비효율적인 소규모 정유 시설을 폐쇄하고 석유화학 개발 속도와 규모를 통제하겠다고 지난 8월 밝혔다.

앞서 중국 베이징시는 지난 2023년 석유산업 구조조정을 공언했다. 당시 베이징시는 2023년에 하루 정제능력이 4만 배럴 미만인 정유공장을 퇴출하고 2025년까지 국가 정제 능력 상한선을 2000만 배럴로 올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전 산업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다"며 "이후 전 세계적인 시장 점유율 경쟁, 기술 경쟁, 인재 경쟁으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