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KAI, 항공 핵심소재 228종 국산화…수입대체 효과 715억원

정보운 인턴 2025-11-06 17:02:01
2030년까지 국산화율 50% 달성 추진 1조3000억원 규모 경제효과 기대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에서 6일 열린 '항공소재개발연합' 기술 교류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KAI]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항공우주산업 핵심 소재 228종의 국산화에 성공하며 항공기 소재 자립 기반 강화에 나섰다.

KAI는 6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 국산화 성과 발표회 및 기술 교류회를 열고 항공소재 국산화율을 오는 2030년까지 5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지난 2019년 국내 항공산업 소재 자립을 위해 출범한 협력체로 현재 경상국립대학교·한국재료연구원·소재·부품 제조사 43개사를 포함한 5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날 국민대·부산대·울산대가 새로 협력협약을 체결하며 산업계·학계·연구계 협력 기반을 확대했다.

KAI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알루미늄 압출재, 티타늄 압연재, 금속 분말 등 항공소재 69종과 기계·전장·배관류 표준품 159종 등 총 228종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해당 소재들은 KF-21 전투기 등 양산기에 적용돼 약 715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뒀다.

항공용 소재는 높은 강도와 내열성, 내구성이 요구돼 레이더·엔진·스텔스 기술과 함께 해외 기술이전이 제한된 분야로 꼽힌다. KAI는 현재 약 1800여종의 항공소재와 표준품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목을 2030년까지 국산화해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를 달성할 계획이다.

KAI 관계자는 "소재 국산화를 통해 공급망 안정과 원가경쟁력 향상은 물론, 생산일정 단축과 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까지 강화할 수 있다"며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