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올해 들어 9월까지 설비투자가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지표 역시 개선 흐름을 이어가며 경기 반등 기대감을 높였다.
2일 국가데이터처 산업활동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전산업 설비투자지수(원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이는 2021년(11.3%) 이후 4년 만의 최대폭 증가다.
설비투자 확대는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이 이끌었다. 자동차 부문 설비투자는 1년 전보다 15.6% 늘어나 2000년(33.9%)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호황기에 들어선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도 15.7% 늘어나 2021년(57.2%) 이후 4년 만의 최대폭을 보였다.
9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했다. 올해 2월(21.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가 28% 급증하며 전체 흐름을 주도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지난해 4분기(-1.8%)와 올해 1분기(-1.7%)의 감소세에서 벗어나 3분기에 5.8% 증가로 돌아섰다.
소비도 개선세를 보였다. 올해 1∼9월 평균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전년보다 0.4% 증가해 2년 연속 감소세에서 플러스로 전환했다. 7월부터 시행된 소비쿠폰 정책이 소비 진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업 생산 불변지수는 1.6% 올라 2023년(3.9%) 이후 2년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도소매업 증가율은 2.0%로 2022년(3.2%) 이후 가장 컸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1.4%로 2년 연속 감소했다.
3분기 들어 소비 회복세는 더욱 뚜렷해졌다. 소매판매(계절조정)는 전 분기보다 1.5% 증가해 2021년 3분기(2%) 이후 16분기 만의 최대폭을 기록했다. 도소매업은 4.5% 증가해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분기 증가율을 보였고, 숙박·음식점업도 1.2% 늘어나 2022년 3분기 이후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반면 생산 지표는 여전히 부진하다. 올해 1∼9월 전산업생산(원지수)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에 그쳐 5년 만의 최저 수준을 보였다. 다만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전 분기 대비 1.1% 증가하며 8분기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경기는 여전히 침체 국면이다. 1∼9월 건설기성(불변)은 전년보다 17.0% 급감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건설투자 위축이 경기 전반의 불균형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APEC] 기적 계속되는 한국…엔비디아 韓헌정 영상 공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173728545875_388_136.jpg)


![[2025APEC] 시진핑, 이재명 대통령에 샤오미15울트라 선물…양국정상 보안 두고 티키타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144635496437_388_136.jpg)


![[2025APEC] 이재명-웡 싱가포르 총리 늦었지만 반가운 전략적 동반자 관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141043981051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