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구글 양자 AI 창립자, "자율주행처럼 양자컴퓨터도 현실될 것"…구글이 그리는 미래

선재관 기자 2025-10-24 10:13:48
구글 양자컴퓨터, AI 학습 데이터 만든다 노벨상 비결은 수익보다 '세상 바꿀 과학'에 투자
구글의 양자 AI 연구를 이끌고 있는 하르트무트 네벤 부사장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의 양자 인공지능(AI) 연구를 이끄는 하르트무트 네벤 부사장이 구글에서 연이어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는 비결로 ‘과학 중심의 기업 문화’를 꼽았다. 수익성보다 과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에 과감히 투자하는 문화가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이고 혁신적인 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네벤 부사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구글 본사에서 열린 행사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구글 양자 AI팀의 수석 과학자인 미셸 드보레 교수와 전 프로젝트 리더인 존 마티니스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지난해에는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CEO 등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네벤 부사장은 "수익성이 중요하지만 그건 항상 두 번째입니다. 과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이 노벨상으로 이어진 셈이죠"라고 말했다. 그는 "구글 창립자들은 언제나 '이게 과학적으로 흥미로운가'를 먼저 묻는다"며 과거 누구도 확신하지 못했던 자율주행차에 과감히 투자했던 것처럼 양자 컴퓨팅 역시 그 정신의 연장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바로 전날 세계 최초로 검증 가능한 ‘양자 우위’를 달성했다고 발표하며 양자 컴퓨팅 기술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네벤 부사장은 이 성과에 대해 "(양자컴퓨터를) 실용화하는 데까지는 아직 몇 년이 걸리겠지만 이번 연구는 그 기간이 생각보다 훨씬 짧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양자 컴퓨팅이 AI 기술 발전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내다봤다. AI 학습에 필수적인 양질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수십 년이 걸리는 현재의 한계를 지적하며 "양자컴퓨팅은 데이터를 훨씬 빠르고 저렴하게 생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AI가 학습할 '귀중한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양자컴퓨터가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네벤 부사장은 한국을 향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그는 구글 창립자들의 "불가능을 건강하게 무시하라(A healthy disregard for the impossible)"는 태도를 언급하며 "이런 문화가 최고 과학자들을 끌어들이고 그들이 최고의 성과를 내는 환경을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그런 문화와 도전정신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된다면 충분히 (노벨상 수상의)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