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연봉 1억 가까운데도 떠난다…연봉 KIST도 예외 아냐

선재관 기자 2025-10-23 08:00:53
출연연 '연구원 엑소더스' 현실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경

[이코노믹데일리] 국가 과학기술 연구의 핵심인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인재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 대학이나 기업에 비해 낮은 처우와 짧은 정년 등으로 인해 연구원들의 이직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심지어 출연연 중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마저 이탈 행렬을 막지 못하고 있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성범 의원(국민의힘)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NST 산하 23개 출연연의 연구원 이직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연도별 이직자는 2023년 143명에서 2024년 166명으로 늘었고 올해는 6월까지만 85명에 달했다.

이러한 ‘연구원 엑소더스’는 최고 대우를 받는 기관도 예외가 아니었다. 지난해 기준 정규 연구직 평균 연봉이 9696만원으로 출연연 중 1위인 KIST에서도 이직자는 2023년 14명, 2024년 16명, 올해 상반기 10명으로 계속해서 발생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대학(79.1%)과 기업(10.4%)으로 자리를 옮겼다.

연구원들이 출연연을 떠나는 가장 큰 배경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가 꼽힌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직 증가 원인에 대해 "정년, 연봉 등 학계 및 산업계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를 비롯해 지리적 요인과 근무 유연성 등에 따른 재직 매력도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ETRI 연구원의 정년은 61세로 65세인 국내 대학보다 짧다. 박사 학위 소지 연구원의 초임은 대기업의 60~70% 수준이며 평균 급여 역시 시가총액 10대 기업 평균(1억2200만원)의 75%에 불과하다. 결국 국가 R&D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인력들이 더 나은 조건을 찾아 민간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셈이다.

신성범 의원은 "출연연 연구원들의 이직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문제"라며 "정년, 연봉, 근무 여건 등 차이로 대학·기업으로의 이직이 늘고 있는 만큼 출연연 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