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한화그룹 핵심 방산 계열사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이 대한민국 최대 방산 전시회인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통합관(1960㎡)을 열고 K-방산 미래 기술을 선보인다.
한화는 이번 전시를 통해 초저궤도 위성, 차세대 전투기용 능동 전자주사식 위상배열(AESA) 레이다,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방공체계, 무인전투 플랫폼 등 미래전장 핵심 기술을 총망라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과 전략적 포부를 동시에 드러냈다고 20일 밝혔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한화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공개한 초저궤도 초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VLEO UHR SAR(Very Low Earth Orbit)' 실물 모형이다. 이 위성은 지상 400km 이하 궤도에서 15cm급 해상도를 구현해 휴대전화·생수병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이 가능하다. 현재 상용화된 25cm급 합성개구레이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보다 정밀도가 앞선다.
한화시스템은 위성 제작뿐 아니라 영상 분석과 AI기반 정보활용까지 우주사업 밸류체인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국형 전투기(KF-21)에 탑재되는 AESA 레이다를 비롯해 무인기용 공랭식 AESA 레이다, 미국 방산업체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즈(GA-ASI)사의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 '그레이 이글-스토울(Gray Eagle-STOL)' 탑재형, 이탈리아 항공전자기업 레오나르도와 공동 개발 중인 경전투기용 '그리포-EK(GRIFO-EK) 레이다' 등 총 4종을 공개했다.
한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통합 방공체계도 이번 ADEX 2025에서 처음 공개됐다. AI 분석을 통해 위협을 자동 분류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선택해 단거리부터 상층 장거리까지 모든 고도의 공중위협에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GA-ASI와 공동 개발 중인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 '그레이 이글-스토울(Gray Eagle-STOL)'의 시제품을 선보이며 무인 항공전력 경쟁에 본격 가세했다.
유무인 복합운용 전시존에서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지상차량 '테미스(THeMIS)'를 비롯해 국산 다목적 전술로봇 '아리온스멧(Arion-SMET)', 소형 정찰·지원용 무인지상차량 '그룬트(GRUNT)' 등 차세대 유무인 전투체계 기반의 무인지상차량(UGV) 라인업을 공개해 차세대 지상 무인전력 미래상을 제시했다.
한화 관계자는 "ADEX 2025는 K-방산의 기술적 도약을 세계에 증명하는 자리"라며 "우주, 방공, 무인체계 등 미래 전장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한화의 존재감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