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정유업계, SAF 사업 확대…효과는 '기회이자 리스크'

장소영 기자 2025-10-08 09:00:00
SAF, 아직은 시작 단계..."가격 안정화 정책이 관건"
LG화학 친환경 바이오 오일(HVO) 공장 건설 현장 [사진=LG화학]
[이코노믹데일리] 세계 각국이 항공 분야에서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을 의무화하면서 국내 정유업계도 새로운 성장 기회와 도전 과제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탄소 규제 강화로 급증하는 SAF 수요가 새로운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으나 높은 생산비용과 불확실한 가격 정책은 산업계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SAF 로드맵과 혼합 의무화 계획을 발표했다. SAF 혼합 의무비율은 2027년 1%에서 시작해 2030년에는 3~5%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차세대 SAF 생산기술과 인센티브, SAF 신규투자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은 "국가전략기술 수준으로 SAF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최근 기후위기가 심각하고 글로벌 탄소 규제를 강화하면서 친환경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고 강조했다.

SAF는 기존 항공유 대비 친환경성을 높인 차세대 연료로 탄소 규제 강화와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속에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감도 있지만 상반기 적자와 가격 불확실성 등이 잔존해 있어 SAF 전용 설비 투자까지 감당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9월 셋째 주 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10달러를 회복하며 연초 최저점인 5.4달러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반면 국제유가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간 관세 전쟁 장기화로 무역 위축을 비롯한 중장기적인 하락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SAF 사업을 단순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만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한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실장은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도 있지만 족쇄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필요하지만 비용 경쟁력이 없으면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수가 있다"며 "여러 가지 각도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조 실장은 "확실한 지원과 투자를 통한 경쟁력 우위가 필요하다"며 "SAF가 세계 각국에서 의무화를 도입하게 되면 수요가 늘어나는데 누가 먼저 준비하고 경쟁력을 갖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수요를 가져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SAF의 생산비용이 높은데 가격 반영 쉽지 않다면 팔수록 적자가 쌓이게 된다"며 "결국 핵심은 가격 반영"이라고 덧붙였다. 또 "일정 기간 정도는 가격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며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처럼 생산 세액 공제 제도 등을 통해 사용이 쉬운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미국은 SAF를 생산·판매하는 기업에 갤런당 0.35달러 세액 공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 도쿄도는 지난 6월부터 리터당 100엔 세액 공제를 시행 중이다. 각국의 이같은 정책은 초기 투자 부담을 완화하고 산업계가 친환경 연료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도록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