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LG전자는 이사회를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처분일과 금액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인도증권거래위원회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예정일자를 재공시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 준비를 본격화했다. 지난 3월엔 인도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상장 예비승인을 받았다. 당초 이르면 상반기 중 상장이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으나 4월 말 인도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해 상장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은 신주발행 없이 지분 15%를 매각하는 구주매출로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이다. 이자비용 등 금융 리스크 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해 재무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현지 매체 등이 예상하는 공모 규모는 1150억 루피(약 1조 8000억원) 수준이다. 이는 LG전자 2분기 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 1조1000억원을 넘어서는 규모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18일 발간한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4분기는 비수기이지만 인도법인 상장으로 현금흐름 대폭 개선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앞서 올 2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 역시 “향후 LG전자 인도법인 기업공개가 회사 재무지표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도 자본시장 특수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현지 사업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가전 기업인 월풀을 비롯해 오라클, 신용평가사 무디스, 스즈키자동차, 네슬레 등이 인도에 자회사를 상장하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