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K-제약 뷰티 트렌드②] '집에서 누리는 맞춤형 케어'... 홈케어 시장 공략한 제약사 주목

안서희 기자 2025-09-03 16:57:43
센텔리안24·파마리서치, 맞춤형 피부 관리 디바이스 선봬 스마트 기능과 편의성 강화, 소비자 만족도 높여
 
(왼쪽부터) 마데카 프라임 맥스, 리쥬리프 제품 이미지.[사진=각 사]

[이코노믹데일리] “K-제약의 도전은 건강과 아름다움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이 특집은 제약이 만들어내는 뷰티 혁신을 이너뷰티, 홈케어 디바이스, 더마코스메틱 세 가지 키워드로 나눠 집중 조명합니다.”

최근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헬스 디바이스 출시와 마케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개인 맞춤형 피부·체형·건강 관리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가정용 헬스케어 기기는 소비자들의 새로운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는 분위기다.

제약업계 역시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홈케어(Home Care)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3일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스페리컬 인사이트에 따르면 국내 홈케어 시장은 2024년 3억4000억원에서 2035년에는 4억5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국제약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의 뷰티 디바이스 '마데카 프라임 맥스'는 기존 '마데카 프라임'의 업그레이드 모델로 크리스탈 브라이트닝, 다이나믹 흡수, 하이퍼 탄력 세 가지 모드가 탑재됐다.
 
동국제약은 "마데카 프라임 맥스는 각 모드별로 3분간 집중 케어가 가능하며 한 가지 모드에 두 가지 이상의 기술들을 탑재한 멀티 콤바인 기술로 단시간에도 효과적인 피부 개선을 경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편의성 강화도 눈에 띈다. 스마트 피부 인식 센서가 피부 상태를 스스로 분석하고 음성 안내와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 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도 추가돼 사용자 경험을 대폭 개선했다.
 
파마리서치의 리쥬란 뷰티 디바이스 '리쥬리프' 역시 주목받고 있다. 리쥬리프는 초음파와 고주파 기능을 하나로 담은 Double UP 케어로 피부 상태에 맞춘 탄력 관리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주요 기능은 타겟 초음파와 메가 고주파다. 타겟 초음파는 50도트가 이루는 한 샷으로 피부 속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깊숙이 탄력을 강화한다.
 
여기에 더해 메가 고주파는 7MHz 주파수를 적용해 기존 대비 7배 빠르고 강력한 열에너지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피부 겉부터 속까지 빠르게 열감을 채우고 장시간 유지되는 탄력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2.3cm 초소형 카트리지로 얼굴 굴곡까지 빈틈없이 밀착 케어가 가능하며 교체형 카트리지로 설계돼 최대 1만샷까지 사용이 가능해 장기간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사용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한 점에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홈케어 시장은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디지털 기술 발전이 맞물리면서 성장 잠재력이 크다"며 "제약사가 축적한 경험을 디바이스와 접목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