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구글, AI 데이터센터, 지구를 떠난다…'우주 컴퓨팅' 시대 개막

선재관 기자 2025-08-15 14:28:10
엔비디아 H100 싣고 우주로 AI 제미나이 우주에서 돌린다 스타트업 '스타클라우드'와 협력
구글과 스타클라우드가 계획중인 우주 데이터센터의 모습. [사진=스타클라우드 홈페이지]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이 자사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우주 데이터센터에서 구동하는 야심 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는 지상의 에너지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떠오르는 우주 컴퓨팅 시대를 앞당기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맷 라이더나워 구글 미국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총괄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마운틴뷰 본사에서 “우주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인 스타트업 '스타클라우드'가 곧 세계 최초로 엔비디아 H1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한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글 클라우드가 스타클라우드를 지원하고 있으며 우주 데이터센터에서 제미나이 모델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타클라우드는 지난해 설립된 신생 스타트업이지만 Y콤비네이터 앤드리슨 호로비츠 등 유력 벤처캐피털로부터 2100만 달러의 초기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 회사는 올해 말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으로 소규모 시험 위성을 발사하는 것을 시작으로 장기적으로는 약 4㎞ 크기의 초대형 태양광 패널을 갖춘 5GW급 궤도 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한다.

우주 데이터센터는 무한한 태양광 에너지를 동력으로 삼고 진공 상태의 우주 공간을 자연 냉각에 활용해 운영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지상 데이터센터의 고질적인 문제인 막대한 전력 소비와 발열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셈이다. 라이더나워 총괄은 “4㎞ 크기의 매우 큰 데이터센터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며 스타클라우드 팀에 대한 강한 신뢰를 내비쳤다.

구글은 스타클라우드가 구축할 인프라를 활용해 제미나이 모델을 운영함으로써 AI 연산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구글 클라우드의 기술 지원과 협력이 프로젝트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