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8개 전업 카드사의 신기술금융자산은 1013억6600만원으로, 전년(1012억900만원) 대비 0.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신기술금융사업은 벤처캐피털처럼 신기술 기업에 투자해 성장성과 수익을 추구하는 사업이지만, 최근에는 시장 상황 악화와 위험 부담 등으로 대부분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신기술금융자산이 918억4400만원으로 업계 총자산의 90.61%를 차지했다. 2022년 1011억2000만원에서 줄어든 수치다. 신한금융그룹의 집합투자기구(SI펀드)를 통해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나, 최근엔 신한벤처투자 등 비신기술투자자산 중심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관련 지표가 감소하는 추세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신기술금융자산은 감소했지만, 전체 벤처투자 금액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신기술금융자산이 377억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8.35% 감소했다. 반면 우리카드(32억3800만원)와 롯데카드(25억1300만원)는 전년보다 각각 46.38%, 15.01% 증가했다. 하지만 삼성, 현대, 하나카드는 라이센스만 보유 중일 뿐 실제 투자는 집계되지 않았다.
카드사 간 신기술금융투자 자산 차이는 결국 시장 환경 악화에 기인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신한카드는 투자 여력이 있지만, 중소 카드사는 비용 절감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관련 투자 모니터링만 소극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수익 면에서도 카드사들의 성적표는 초라하다. 지난해 신기술금융수익 합계는 4400만원에 그쳤으며, 이는 전년 49억3900만원 대비 크게 감소한 수치다. 오히려 비용은 8억4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자산이 늘어난 우리·롯데카드도 수익은 전혀 기록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신기술금융사업의 경우 단기 수익과 거리가 먼 장기 투자 성격이 강한 데다, 제도와 정책적 뒷받침이 부족한 점도 한계로 꼽았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가치 실현에 수년이 걸리는 사업"이라며 "단기 실적 중심의 카드사 경영구조와 외부 환경 악화, 제도 미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규제 완화와 정책금융기관과의 공동 펀드 조성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신기술금융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