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이 2025년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8742억원, 영업이익 4573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1.3%, 영업이익은 47.3% 증가한 수치이며 직전 분기인 2024년 4분기 대비해서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1.6%, 112.2% 늘어난 결과다.
이번 호실적은 핵심 지식재산권(IP)인 'PUBG: 배틀그라운드'의 견고한 성장과 신규 IP '인조이(inZOI)'의 성공적인 초기 흥행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PC 플랫폼에서는 배틀그라운드의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와 라이브 서비스 운영 강화가 주효했으며 3월에는 최대 동시접속자 수가 140만명을 넘어서는 등 인기를 이어갔다.
모바일 부문 역시 프리미엄 상품 판매 호조와 다양한 IP 협업, 현지화 전략을 통해 매출 신기록 달성에 기여했다. 특히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인도 자동차 제조사 마힌드라와의 협업 콘텐츠가 현지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높은 매출 성과를 거뒀다.
지난 3월 28일 얼리 액세스(미리 해보기)로 출시된 신작 '인조이'는 출시 일주일 만에 100만장 이상 판매고를 올리며 크래프톤 IP 중 가장 빠른 흥행 속도를 기록했다. 전체 판매량의 95%가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며 글로벌 성공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크래프톤은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콘텐츠 고도화를 통해 인조이를 장기적으로 서비스 가능한 핵심 프랜차이즈 IP로 육성할 방침이다.
크래프톤은 앞으로 PUBG IP의 세계관을 확장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익스트랙션 슈팅 게임 '프로젝트 블랙버짓', 배틀로얄 콘솔 게임 '프로젝트 발러', 탑다운 전술 슈팅 게임 'PUBG: 블라인드스팟'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 개발을 통해 이용자층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또한 언리얼 엔진 5 기반의 그래픽 향상과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 도입을 통해 배틀그라운드를 'PUBG 2.0' 게임플레이 플랫폼으로 진화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외에도 크래프톤은 '딩컴', '서브노티카 2' 등 퍼블리싱 계약을 맺은 신작들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핵심 전략 시장인 인도에서는 BGMI의 성공을 발판 삼아 퍼블리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 인수한 노틸러스 모바일의 '리얼 크리켓' IP 확보 등을 통해 현지 맞춤형 콘텐츠 제공과 신규 IP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