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모빌리티 친환경차[사진=KG모빌리티]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할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최근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의 40%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발간된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눈에 보는 2024년 자동차 산업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 판매는 지난 2023년보다 18.2% 증가한 65만대를 기록하며 신규 판매 차량 10대 중 4대는 친환경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특히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2023년 대비 32% 증가해 친환경차 중 76%를 차지했다. 전체 국내 판매 차량 중 30%를 차지한 것이다.
친환경차의 종류에는 총 4가지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순수전기차(BEV) △연료전지 자동차(FCEV)로 구성돼 있다.
우선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통해 작동하는데 휘발유·디젤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한다. 외부 충전 없이 엔진 발전기와 회생제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며 배출가스가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HEV보다 큰 배터리를 탑재해 외부 충전이 가능하고 전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다. PHEV는 전기 모터만 사용해 배출 가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순수전기차는 대용량 배터리와 전기모터로 무공해 주행이 가능하지만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지난 2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는 등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자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일고 있기도 하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전기를 생산해 전기 모터를 구동하며 주행 중 배출가스가 전혀 없다. 하지만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기준 386기에 불과해 전기차 충전소(39만대) 대비 극심히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초기 구축 비용이 높다는 장벽이 있다.
최근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의 40%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발간된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눈에 보는 2024년 자동차 산업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차 판매는 지난 2023년보다 18.2% 증가한 65만대를 기록하며 신규 판매 차량 10대 중 4대는 친환경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특히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2023년 대비 32% 증가해 친환경차 중 76%를 차지했다. 전체 국내 판매 차량 중 30%를 차지한 것이다.
친환경차의 종류에는 총 4가지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순수전기차(BEV) △연료전지 자동차(FCEV)로 구성돼 있다.
우선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통해 작동하는데 휘발유·디젤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한다. 외부 충전 없이 엔진 발전기와 회생제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며 배출가스가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HEV보다 큰 배터리를 탑재해 외부 충전이 가능하고 전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다. PHEV는 전기 모터만 사용해 배출 가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순수전기차는 대용량 배터리와 전기모터로 무공해 주행이 가능하지만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지난 2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는 등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자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일고 있기도 하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를 전기를 생산해 전기 모터를 구동하며 주행 중 배출가스가 전혀 없다. 하지만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기준 386기에 불과해 전기차 충전소(39만대) 대비 극심히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초기 구축 비용이 높다는 장벽이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