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의 경우 미주 노선이 전체 매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이번 조치로 물동량 감소와 운임 변동성 확대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과 미국 간 교역량이 줄어들 경우 한국을 경유하는 수출입 물량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해상 운임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도 HMM의 실적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00선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18일 이후 14주만이다. 지난 15일 예정됐던 미국 동안 노동자들의 파업이 철회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되자 운임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중동 정세도 해상운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19일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 합의가 이뤄지면서 수에즈운하 통항이 재개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이 미국·영국 선박을 겨냥한 공격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수에즈운하청은 주요 해운사들에게 복귀를 촉구하고 있다. 만약 글로벌 해운사들이 수에즈운하로 복귀할 경우 해상 운임은 더욱 빠르게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홍해 사태로 인해 수에즈운하가 막히면서 선박 운항 기간이 2주 이상 길어졌다. 선박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해상운임 강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현재는 미국 노동자 파업 리스크 해소, 수에즈운하 통항 재개 가능성, 선박 공급 과잉까지 겹치면서 운임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는 ‘피크아웃’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HMM을 비롯한 주요 선사들은 미주 노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관세 조치와 해상 운임 하락이 겹치면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동남아 및 유럽 노선 다변화와 비용 절감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