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세계보건기구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 도입 논란

선재관 2024-07-05 17:19:23
국내외 전문가들 "정의와 진단 기준 불명확... 섣부른 도입 우려"
해외 석학 "게임이용장애, 정의도 진단 기준도 불명확" 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콘텐츠진흥원·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한 '게임이용장애 국제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문석 한성대 사회과학부 교수, 조현래 콘텐츠진흥원장, 앤드류 쉬빌스키 옥스퍼드대 교수, 마띠 부오레 튈뷔르흐대 교수.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 이용 장애'를 공식 질병으로 분류한 이후 국내에서도 이른바 '게임 질병 코드' 도입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외 산·학계 전문가들은 게임 이용 장애를 판단하는 명확한 학술적 정의가 불분명한 가운데, 섣불리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를 도입할 경우 게임 산업과 이용자 모두에게 부정적 여파가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5일 한국게임산업협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게임 인식: 게임 이용 장애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게임 질병 코드 논란은 2019년 WHO가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ICD-11)에 게임 이용 장애를 포함시키면서 불거졌다.

앤드루 쉬빌스키 옥스퍼드대 인간행동기술학 교수는 "성인 중 절반 정도는 게임이든, 스마트폰이든, 소셜미디어든 기술에 중독됐다고 볼 수 있으나 이를 임상진단으로서 '중독'이라고 하는 건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영국에서는 ICD-11를 도입하는 데 20년이 걸렸다"며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해 명확한 정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는데 이를 어떻게 보고 치료할 것인지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띠 부오레 틸뷔르흐대 사회심리학과 교수도 "학계 분위기를 봤을 때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엇갈린 의견이 많다"며 "질병코드를 부여받게 되면 일상에서 게임을 하는 이들이 장애가 있는 것처럼 낙인이 찍힐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조문석 한성대 사회과학부 교수는 "게임이 장애 현상이나 문제적 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있는지 4년간 연구한 결과, 명확한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게임 이용 장애는 이용자가 가진 사회적, 심리적, 환경적 등 다양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K-게임의 세계적인 위상에도 여전히 부정적인 국민적 시선이 존재한다. 이 중 대다수는 게임과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그릇된 편견에 따른 오해"라며 게임 산업의 긍정적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