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각 3일 현재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을 의결했다. 기존 상단 5.00% 금리는 5.25%까지 뛰었다. 이날 기준 국내 기준금리 3.50%와 최대 1.75%까지 벌어진 상황이다.
FOMC는 아직 꺾이지 않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세를 고려해 이번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이번처럼 한 번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리는 이른바 '베이비스텝'을 밟은 것을 감안하면, 1년 넘게 지속해 온 미국발 금리인상 스탠스가 중단될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날까지 합해 미 연준이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됐다.
연준은 성명에서 "경제 활동은 1분기에 완만한 속도로 확대됐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가계와 기업에 대한 엄격한 신용 상황은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영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연준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상당히 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은행 등 일부 은행의 파산 여파로 불거진 미국 내 금융시장 불안과 관련해 미 연준은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라고 일축했다. 금융 소비자들에게 동요되지 말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연준은 작년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2020년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유지한 제로 금리 시대를 마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붕괴 여파 등으로 물가가 급상승하자 작년 5월 0.5%포인트 올린 데 이어 6월, 7월, 9월, 11월에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도 밟은 바 있다.
결국 증가폭이 작은 베이비스텝이라 해도 이번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된 이상, 한은 역시 고심에 빠진 상태다. 상반기 마지막 순서인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지, 직전에 이어 동결할지 여부를 고민하는 것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피봇, 즉 금리 인상 기조가 인하로 선회할 가능성에 관해서는 시기상조라 판단했다. 전날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56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석한 이 총재는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뜻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치인 1.6%다 소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가 늦어지는 영향 때문"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