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새해부터 양도성예금증서(CD)·기업어음(CP) 등 시장금리는 내려가는 반면 증권사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은 상승해 투자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DB금융투자는 기간별 5.76∼9.9%인 신용거래 이자율을 오는 15일부터 6.06∼10.20%로 인상하는 데 이어 하이투자증권은 7.1∼9.6%인 이자율을 다음달 1일 7.1∼9.9%로 일부 올리기로 했다. 유안타증권의 경우 이달 13일부터 일부 고객 그룹·사용 기간에 따라 0.05∼0.25%포인트씩 이자율을 올린다.
이미 최고 금리 기준으로 삼성증권(10.1%)·신한투자증권(10.0%)이 10% 이상 금리를 적용하고 있고 NH투자증권·KB증권·대신증권·메리츠증권·SK증권 등도 9% 후반 금리를 적용 중이다.
업계에서는 증권사 신용융자 금리 설정 시 CD·CP 금리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가산금리를 얹는다는 점에서, 최근 안정세를 보이는 CD·CP 금리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증권사가 신용융자거래 금리를 올릴 때는 광속으로 하면서 내릴 요소가 생길 때 반영은 하세월"이라며 "은행 예대금리차 비교 공시와 같은 제도가 없어 감시의 사각지대에 있는 증권사에 대해서도 비교 공시가 의무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DB금융투자는 기간별 5.76∼9.9%인 신용거래 이자율을 오는 15일부터 6.06∼10.20%로 인상하는 데 이어 하이투자증권은 7.1∼9.6%인 이자율을 다음달 1일 7.1∼9.9%로 일부 올리기로 했다. 유안타증권의 경우 이달 13일부터 일부 고객 그룹·사용 기간에 따라 0.05∼0.25%포인트씩 이자율을 올린다.
이미 최고 금리 기준으로 삼성증권(10.1%)·신한투자증권(10.0%)이 10% 이상 금리를 적용하고 있고 NH투자증권·KB증권·대신증권·메리츠증권·SK증권 등도 9% 후반 금리를 적용 중이다.
업계에서는 증권사 신용융자 금리 설정 시 CD·CP 금리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가산금리를 얹는다는 점에서, 최근 안정세를 보이는 CD·CP 금리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증권사가 신용융자거래 금리를 올릴 때는 광속으로 하면서 내릴 요소가 생길 때 반영은 하세월"이라며 "은행 예대금리차 비교 공시와 같은 제도가 없어 감시의 사각지대에 있는 증권사에 대해서도 비교 공시가 의무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②] SUV부터 세단까지…쏘렌토·텔루라이드·K5까지 3Q 이후에만 리콜 34만대 경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44959133516_388_136.jpg)



![[증도가자 문화재 지정] ③ 문화재 지정에 걸림돌 되는 고인물은 무엇? 증도가자와 문화 권력의 교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00521666890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