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제약바이오 하반기 전망]④ '백신명가' GC녹십자, 희귀질환 정복 나선다

이상훈 기자 2021-08-10 13:59:46
2분기 매출액 3876억원,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희귀질환치료제 헌터라제 매출 성장

[사진=GC녹십자]

[데일리동방] 지난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백신 수급과 개발에 전 국민적 관심이 쏠리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경쟁력도 화두로 떠올랐다. 현재에 안주하던 제약업계에선 팬데믹 위기에 대비하지 못해 백신 주권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뼈아픈 자성도 나온다. 주요 제약바이오업체별 주력 사업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짚어보고 올해 하반기를 전망해본다. [편집자]

50년 전통의 명실상부한 백신명가 GC녹십자가 그동안의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희귀질환치료제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GC녹십자의 연결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은 387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1억원, 세전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08억원, 7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주력인 백신 사업의 해외 매출은 2분기에만 61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1.3%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GC녹십자는 지난 1983년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를 시작으로 1990년 세계 첫 유행성출혈열 백신 '한타박스', 1993년 수두 백신 '수두박스', 2009년 독감백신 '그린플루'와 3가 독감백신 '지씨플루', 2016년 4가 독감백신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 등을 통해 국내 백신 시장을 선도해왔다.

국내 시장뿐 아니라 이제는 글로벌 독감백신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2019년 GC녹십자의 독감백신 누적 수출물량은 국내 백신 제조사 중 처음으로 2억 도즈를 넘어서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일, 올해 첫 독감백신 87만8000명분을 국가 출하승인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날 국가 출하된 독감백신 역시 GC녹십자 제품이다.

GC녹십자 측은 하반기에도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유통 매출과 국내 독감백신으로 인한 매출로 실적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진=GC녹십자 헌터라제]

특히 2분기에 눈에 띄는 매출은 희귀질환 헌터증후군 치료제인 ‘헌터라제’다. 헌터라제의 분기 매출은 11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8.4% 늘어났다.

‘2형 뮤코다당증’으로 불리는 헌터증후군은 남아 10만~15만명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한다고 알려진 희귀질환이다. 골격이상, 지능 저하 등 예측하기 힘든 각종 증상들이 발현되다 심할 경우 15살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하기도 한다. 국내 환자 수는 약 70~80명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헌터라제는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탄생한 치료제로,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만들고 정제된 IDS 효소를 정맥 투여해 헌터증후군 증상을 개선한다.

또한 기존 수입 제품보다 20% 가까이 가격이 저렴해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해 왔다.

현재 12개국에 수출 중이며, 최근 품목허가 승인을 통해 중국과 일본에도 곧 공급될 예정이다. 중국 내 환자 수는 인구 수 대비 유병률로 비춰봤을 때 약 3000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중국에서는 지난 2018년 제정한 희귀질환 관리 목록에 헌터증후군을 포함해 관리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세계 처음으로 뇌실 투여 방식의 헌터증후군 치료제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뇌실 투여는 머리에 디바이스를 삽입해 약물을 뇌실에 직접 투여하는 중증환자 치료법이다. 이는 기존 정맥주사 제형 약물이 뇌혈관장벽(BBB, Blood Brain Barrier)을 투과하지 못해 중추신경계에 도달하지 못한 점을 개선한 것이다.
 

[사진=GC녹십자 연구개발]

현재 전 세계 희귀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11% 이상 성장 중이다. 2024년에는 약 315조원 이상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희귀질환치료제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희귀의약품 개발로 인한 세금 감면, 허가 신청 비용 면제, 독점권 부여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받을 수 있어 많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회사들이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세계에 단 하나밖에 없던 고가의 희귀질환치료제를 국산화해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더 나아가 세계시장으로 진출해 전 세계 희귀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환자 중심주의라는 목표 아래 의료진과 환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치료제 공급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