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신규 취급액 기준 토스뱅크 43.7%, 카카오뱅크 35.4%, 케이뱅크 33.9% 순으로 집계됐다. 잔액 기준으로는 토스뱅크 35.2%, 케이뱅크 33.1%, 카카오뱅크 32.9% 순이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신용평점 하위 50% 이하)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규정하다가, 올해 들어선 신규 취급액 30% 이상 기준을 의무화한 바 있다.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비중은 지난해 새 기준 도입 이후 7개 분기 연속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신규취급액 비중은 3개월 간 취급한 신용대출의 절반에 달했다.
토스뱅크의 누적 중저신용자 대출은 총 9조5000억원 규모다. 개인사업자 대출에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67%(3분기 말 잔액 기준)로 집계됐다.
토스뱅크가 취급 중인 햇살론(햇살론뱅크·햇살론유스)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공급액 1조1300억원 규모다. 토스뱅크는 이번 4분기 새희망홀씨대출(새희망홀씨II) 등을 출시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역시 3분기 중·저신용대출 잔액 비중 목표치(30%)를 상회했다. 3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은 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출범 이후 올해 3분기까지 8년간 개인과 개인사업자 중·저신용 고객에게 자체 신용대출 누적 15조원을 공급했다.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 대출은 규모는 1조6500억원이다.
케이뱅크도 3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30%)를 넘겼다. 케이뱅크가 2017년 출범 이후 누적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은 올해 3분기 기준 총 8조330억원 규모다.
3분기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액은 3338억원으로, 지난 2분기(2789억원) 대비 약 20% 증가했다.
3분기 연체율은 0.56%로 세 분기 연속 하락하며 2022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