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KT가 AI(인공지능) 기술을 단순한 이론 학습을 넘어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기도 성남 판교 사옥에 대규모 전문 교육 공간을 마련하고 협력사 직원부터 학생까지 아우르는 전방위적 교육 커리큘럼을 가동하며 국가적 차원의 AX(AI 전환) 가속화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KT는 25일 경기도 성남시 KT 판교 사옥에 AI 전문 교육 공간인 ‘AI 캠퍼스(AI Campus)’를 개소하고 실무 중심의 AX 역량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퍼스 개소는 김영섭 대표 취임 이후 강조해 온 ‘AICT(AI+ICT) 컴퍼니’ 비전을 내부 구성원뿐만 아니라 협력사와 일반 국민에게까지 확장하겠다는 'AI 인재양성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약 400평 규모로 조성된 AI 캠퍼스는 6개의 대형 교육장과 2개의 비대면 강의 스튜디오를 갖춘 하이브리드 교육 시설이다. 이곳에서는 생성형 AI의 기본 개념부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업무 자동화 등 단계별 맞춤형 교육이 이뤄진다. 올해에만 협력사 재직자, 교원, 학생 등 약 700명이 이곳을 거쳐 갔다.
커리큘럼은 철저히 '현장 활용성'에 초점을 맞췄다. 입문자를 위한 ‘AI 리터러시(문해력) 과정’을 시작으로 실제 업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과 콘텐츠 생산성을 높이는 ‘Gen AI 활용 과정’ 그리고 AI 에이전트와 바이브 코딩(Vibe coding) 등을 다루는 심화 단계인 ‘Gen AI 워크숍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바이브 코딩’의 도입이다. 이는 개발자가 코드를 직접 짜는 대신 자연어 프롬프트로 AI에 지시해 코드를 생성하고 사람은 테스트와 피드백에 집중하는 새로운 협업 방식이다. KT가 단순한 툴 사용법을 넘어 AI 시대에 일하는 방식 자체를 혁신하려 한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에는 협력사 직원 60명을 선발해 집중 교육을 진행하며 동반 성장을 꾀하고 있다. 이는 KT의 AI 생태계가 파트너사로 확장되어야만 진정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KT는 향후 온라인 교육을 확대해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2026년까지 연중 상시 운영을 통해 산업 현장의 AI 인력 부족 문제 해소에 기여할 방침이다.
정부 지원과의 연계도 강점이다. KT는 고용노동부 주관 중소기업 근로자 주도훈련 선도기업으로 선정되어 우선지원대상 기업 재직자가 해당 교육을 수강할 경우 교육비의 최대 90%를 환급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비용 부담으로 AI 도입을 망설이는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유인책이 될 전망이다.
KT 관계자는 “현장에서 실제로 쓸 수 있는 AI 역량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며 “산업계 전반의 AX 역량 확산과 대한민국 AI 경쟁력 제고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두산에너빌리티, 한수원 입찰제한 소송 승소...공공사업 제약 풀렸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4/20251124171742417184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