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현장]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릴리·GSK·사노피가 선택한 플랫폼…'빅 딜' 가능성 높아"

안서희 기자 2025-11-17 16:36:33

일라이 릴리, 실사단 파견 · 총 25억 달러 규모 기술이전 성과

그랩바디-B 플랫폼 활용 시 근육·지방·심장으로의 전달 가능성 확인

에이비엘바이오 간담회 현장.[사진=안서희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다음 기술수출 시점은 미정이지만 GSK 계약이 성사됐던 시기에 제가 올해 두 건의 기술수출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17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최근 일라이 릴리와 체결한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계약의 배경과 의미를 집중 조명했다. 이외에도 ABL001, 차세대 ADC 등 핵심 파이프라인 현황도 함께 공유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이번 릴리와의 계약은 사노피, GSK에 이어 세 번째로 글로벌 빅파마 계약에 성공”이라면서 계약의 배경을 이야기하며 간담회의 포문을 열었다.
 
이번 계약은 2023년 바이오 USA에서의 초기 논의를 기반으로 2024년 바이오 USA·바이오 유럽에서 구체화됐으며 GSK 딜을 우선 마무리한 뒤 지난해 하반기 릴리와의 집중 협상을 통해 체결됐다. 특히 릴리는 7명으로 구성된 실사단을 한국 본사에 파견하는 등 이례적으로 철저한 검증 절차를 거쳤다.
 
이렇게 릴리와 계약을 체결한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4000만 달러와 허가와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최대 25억6200달러를 수령하게 된다. 또한 릴리는 에이비엘바이오에 220억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도 단행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사례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사진=안서희 기자]
이렇게 빅파마에게 기술 이전을 통해 성과를 내고 있는 플랫폼은 그랩바디-B로 현재 사노피가 ABL301 임상 1상을 마무리했으며 다음 임상을 준비하고 있다.
 
사노피는 그랩바디-B 플랫폼을 이용한 ABL301 임상 1상에서 SAD·MAD 모두 TRAE 5~7% 수준의 낮은 부작용을 확인했다. 이는 경쟁 기술 TfR 기반 항체 대비 아리아(ARIA) 부작용 발생 가능성 감소 근거 확보하며 안정성을 입증했다.

그는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 플랫폼에서 출발했지만 글로벌 바이오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siRNA/ASO 딜리버리까지 모달리티 확장 하고 있다”며 “현재 아이오니스와 공동 연구 중이며 관련 논문 이미 제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IGF1R을 이용할 경우 CNS 분야 외에도 근육·지방조직으로의 전달 가능성이 동물모델에서 관찰됐다”며 “적응증 확장 잠재력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한 ADC(이중항체 기반 ADC) 개발 전략에 대해서는 미국 자회사 네오바이오를 통해 이중항체 기반 ADC 파이프라인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BBB·ADC를 결합한 차세대 정밀 항암치료제 플랫폼을 구축 중이며 앞서 사노피(ABL301)와 첫 BBB 기반 물질 기술이전으로 임상 1상 안정성 확보를 비롯해 GSK와 항체 + 올리고뉴클레오티드까지 적용 가능한 BBB 플랫폼 계약 등 다수의 글로벌 파트너십에서 이중항체 기술력은 이미 검증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릴리·GSK·사노피의 연속적인 신뢰 확보를 바탕으로 차기 빅파마들과의 JP모건 미팅이 다수 확정된 상태”라며 “CNS를 넘어 근육·지방·심장 등으로 확장 가능한 차세대 딜리버리 셔틀을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