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정책

[로컬FOCUS] "탄소중립"… 감축 모델, 인천이 시민과 제시한다

권석림 기자 2025-09-23 16:03:00

지역 특성 반영 방법론 발굴, 시민 생활 속 에너지 전환 가속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사진=인천시]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어가겠다."

인천광역시가 전국 최초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 발굴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건물부문 컨설팅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지방정부 주도 탄소감축 모델을 제시했다. 온실가스 감축과 배출권 확보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을 활용한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방법론을 발굴하고, 환경부 인증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 사업은 2024년 10월 인천시·인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 인천지역본부 간 체결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추진됐다. 지난 7월 ‘건물부문 외부사업 컨설팅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본격화 됐다.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은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의 조직 경계 밖에서 자발적으로 추진한 감축 활동을 인증받아 배출권(KOC)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다. 

시는 공동주택과 산업단지 등 다양한 장소에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발생한 감축 실적을 외부사업으로 인증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김성우 인천연구원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장은 “이번 외부사업은 지방정부가 기후정책의 설계자이자 실행자로서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론을 발굴해 지속가능한 탄소감축 모델을 구축하고 다른 지자체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협업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김강현 한국에너지공단 인천지역본부장은 “인천시의 외부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표적 사례로, 제도적 기반과 기술적 완성도를 갖춘 만큼 향후 배출권거래제 내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공단도 지방정부의 이러한 선도적 시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방법론 발굴 추진은 인천시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 대한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단순한 참여를 넘어, 제도 설계와 실행의 주체로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외부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적극 행정을 통한 시민 생활 속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연구원은 2025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 섬 지역 환경보건 특성 분석 및 진단 연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섬 지역은 상하수도 보급률이 육지에 비해 낮고, 폭염 및 고농도 오존 노출이 잦아 주민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특수성을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