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일본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일본 '히타치 제작소'가 '히타치 글로벌 라이프 솔루션즈(히타치 GLS)'을 매각한다고 지난 3일 발표했으며 이후 1차 입찰 제안서를 받았다.
인수 가격이 2조원 내외로 예상되는 이번 입찰에는 세계 유수 기업들이 참가했고 그 중 LG전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히타치 GLS는 일본의 대표적인 가전제품 회사로 지난해 매출액 3676억엔(약 3조446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일본 세탁기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지난 2015년 기준 일본 세탁기 점유율 30.1%를 기록하며 업계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히타치 GLS는 기업 인수 조건으로 종업원 고용 보장, 동일 브랜드 5년 사용 등을 내걸었다.
일본전기공업협회 JEMA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일본에 대한 한국의 가전제품 수출액은 273억엔(2558억원)으로 일본 가전제품 시장규모 2조6326억엔(약 24조6458억원)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수출액이 낮은 이유는 이미 일본 가전제품 시장에서 일본 기업들이 입지를 다지고 있어서다.
그렇기에 일본 가전제품 시장의 한 축을 담당하는 히타치 GLS의 인수전에 승리하는 기업이 일본 가전제품 시장에 강력한 플레이어로 등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가운데 LG전자는 일본 가전제품 시장 내 TV와 모니터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저가 TV와 모니터가 일본 가전제품 시장을 덮쳤지만 LG전자는 고급화 전략을 통해 일본 시장내 점유율 10%대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그 외 제품들은 일본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LG 스타일러를 비롯한 몇몇 제품 외에는 일본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번 LG전자의 인수전 참가는 일본 가전제품 시장 재진출 발표에 힘을 실어준다. 이번 인수전 성공 여부에 따라 LG전자의 일본 가전제품 시장 재진출 전략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LG전자의 인수전 승리가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인수전에는 삼성전자와 함께 터키의 가전기업 아르첼릭, 중국의 몇몇 기업 등 7~8개 기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몇 년간 삼성전자는 막강한 자금을 동원해 공격적으로 다른 기업들을 인수·합병해 왔다. 불과 한 달 전 삼성전자는 미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젤스'를 수천억원에 인수했다.
아르첼릭은 지난 2020년 히타치 제작소의 해외 가전사업 지분 60%를 약 3억달러(약 4147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연간 24조억원에 달하는 거대한 일본 전자제품 시장을 손쉽게 들어갈 수 있는 열쇠를 다른 기업들이 쉽게 내주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히타치 GLS는 한때 글로벌 가전을 이끌었던 기업으로 LG전자가 얻어갈 수 있는 여러 요소가 있다"며 인수 조건에 대해서는 "많은 인수·합병 시 종종 있었던 조건이며 기업들이 히타치 GLS가 얼마나 매력적으로 느끼는 지에 따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또한 황 교수는 인수전의 향방에 대해 "인수에 있어서 핵심적인 것은 '인수 가격'이지만 다른 해외 기업들은 과거 기술 유출 사례와 같은 우려할 사항이 있기에 한국 기업 간 경쟁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