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NHN두레이, 국내 SaaS 최초 금융 내부망에 해외 LLM 연동 성공

선재관 기자 2025-07-15 12:53:45

금융권 AI 활용 기준 높였다

보안망서 챗GPT·제미나이 쓴다

NHN두레이, 국내 SaaS 최초 금융 내부망에 해외 리전 LLM 연동 이뤄냈다

[이코노믹데일리] NHN두레이가 국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업계 최초로 금융사 내부 업무망에서 해외 초거대언어모델(LLM)을 직접 연동하는 데 성공했다. 

NHN두레이는 15일 자사 협업 플랫폼에서 해외 리전 기반의 챗GPT 4.1과 제미나이 2.0 Flash를 금융사 내부망에 직접 연동하는 환경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이는 보안과 정책 규제로 막혀 있던 국내 금융권의 글로벌 생성형 AI 활용에 새로운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금융사는 망분리 규제 완화 이후 내부 업무망에서 SaaS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지만 대부분 국내 리전의 AI 모델만 적용 가능해 한계가 뚜렷했다. NHN두레이는 이런 한계를 넘어 해외 리전 기반 애저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버텍스 AI의 제미나이 등 최신 LLM을 금융사 내부망에서 직접 쓰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로써 금융사는 고유식별정보나 개인신용정보를 다루지 않는 업무에 한해 최신 글로벌 생성형 AI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기능 개선은 올인원 협업 플랫폼 ‘Dooray!(두레이)’에 적용됐다. 사용자가 별도 설정 없이도 두레이 안에서 최적의 LLM을 자동으로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텍스트 요약에는 챗GPT를 이미지 생성이나 복합 질의에는 제미나이를 활용하는 등 LLM의 강점에 맞춰 최적화된 결과물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AI 모델 학습이나 제3자 제공에 일절 활용되지 않아 보안성도 확보했다.

나아가 NHN두레이는 사용자가 직접 AI 모델을 선택해 응답을 비교하는 맞춤형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다. 향후 앤스로픽의 클로드, 미스트랄 등 다양한 글로벌 LLM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선택지를 넓힐 방침이다. 이번 서비스는 우리금융그룹에 가장 먼저 적용된다. 올해 3월부터 우리금융그룹의 공식 협업툴로 도입된 두레이는 이번 연동을 통해 국내 금융권 최초로 내부망에서 최신 AI 모델을 활용하는 환경을 제공하게 됐다.

백창열 NHN두레이 대표는 “이번 연동은 사용자가 복잡한 AI 모델을 일일이 구분하지 않아도 두레이 안에서 최적의 LLM을 자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 핵심”이라며 “이를 통해 금융권의 AI 활용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협업 SaaS와 AI 융합 모델을 고도화해 고객사 확장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