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신화통신) 중국 정부가 상장사 인수합병·구조조정 시장 개혁에 나섰다.
얼마 전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가 개정된 '상장사 중대 자산 구조조정 관리방법'의 시행을 알렸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로 인수합병·구조조정 시장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개정안에는 인수합병의 대가로 지급되는 주식에 분할 지급 메커니즘이 도입됐다. 또 재무 상태 변화, 동종 업계 간 경쟁, 특수관계자 간 거래에 감독관리의 포용성을 제고했다. 구조조정 간소화 심사 절차를 신설해 간이심사절차 대상 구조조정 거래에 대해서는 증권거래소의 심의를 받지 않고 증감회가 5영업일 이내에 등록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상장사 간 흡수합병에 관한 보호예수 기간 요건을 명확히 했으며 사모펀드의 상장사 인수합병 및 구조조정 참여를 장려했다.
이와 동시에 선전(深圳)·상하이·베이징증권거래소 역시 관련 심사 규칙과 업무 지침을 수정·발표했다. 이에 따라 업계 인사들은 간이심사 절차가 시장 주체의 거래 비용을 줄여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9월, 증감회가 '상장사 인수합병·구조조정 시장 개혁 심화에 관한 의견'을 발표한 이후 중국 내 인수합병·구조조정 규모와 활력이 크게 향상됐다.
상장사가 공시한 자산 구조조정 건수는 누적 1천400건을 초과했으며 그중 중대 건수는 160건이 넘는다. 올 들어 상장사가 더욱 적극적으로 구조조정 계획에 나서면서 이미 공시된 건수만 600건 이상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1.4배에 달하는 수치다. 그중 중대 건수는 약 9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3배에 달한다. 이미 시행 완료된 중대 자산 구조조정 거래액은 지난해의 11.6배인 2천억 위안(약 38조8천억원)을 넘어섰다.
카이위안(開源)증권은 지난해 9월 증감회 정책 출범 이후 인수합병·구조조정 시장에서는 중앙∙국유기업의 통합과 하드 테크놀로지 분야 간 인수합병이 주된 흐름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국유기업 개혁을 위한 정책적 지원, 산업 전환 및 업그레이드, 그룹 자산의 증권화, 시가총액 관리·심사 등 다양한 요인에 힘입어 중앙∙국유기업이 인수합병 흐름을 주도할 것으로 점쳐진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