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전국 아파트 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들었다. 거래량은 눈에 띄게 줄고 있으며, 세종과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 기대감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회수하면서 매물 수가 급감하는 모습이다.
9일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세종시 아파트 매물은 6184건으로, 한 달 전(7441건) 대비 16.9% 줄어 전국 매물 감소 폭 1위를 기록했다. 서울은 같은 기간 8만6274건에서 8만4616건으로 2.0% 감소해 3위에 올랐다.
특히 세종은 국회와 대통령실 이전 가능성이 대선 이슈로 부각되면서 기대 심리가 시장을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최근 세종 아파트값은 4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4월 넷째 주(28일 기준) 세종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49% 올랐다. 이는 2020년 8월 다섯째 주(0.5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나성동 나릿재마을6단지 한신더휴리저브 전용 84㎡는 지난달 19일 1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면적이 올해 2월 8억4300만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하면 두 달 만에 약 2억원 이상 상승한 셈이다.
서울 역시 매물 회수와 관망세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재지정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는 거래량이 급감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토허제 해제 효과로 3월 9714건까지 늘었다가, 4월에는 3353건으로 급감했다. 강남구는 803건에서 41건, 서초구는 442건에서 12건, 송파구는 869건에서 64건, 용산구는 260건에서 14건으로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6월 조기 대선과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수요자들이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동시에 수도권의 경우 착공·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매물 회수 현상까지 겹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부족 우려가 집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도권은 착공 물량 감소와 입주 물량 축소, 가격 상승 기대심리 등이 맞물리며 단기 공급 위축 현상이 감지되고 있다”며 “선거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다시금 시장이 출렁일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