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백석대학교와 손잡고 '2025 글로컬대학 30' 사업의 핵심 기술 파트너로 나선다. LG유플러스는 AI 인프라 및 플랫폼 구축을 통해 대학의 디지털 혁신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6일 밝혔다.
백석대학교는 교육부가 추진하는 글로컬대학 30 사업 예비선정에 도전하며 지역 사회와 연계한 특화 교육 모델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 대학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백석대의 전략 실행을 위해 LG유플러스는 AI 풀스택(Full Stack) 기반의 포괄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든든한 조력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AI 풀스택이란 AI 모델 개발부터 운영, 인프라까지 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모든 기술 요소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양측의 협력은 크게 △AI 인프라 구축 △AI 플랫폼 제공 △AI 응용 서비스 공동 개발 등 세 가지 축으로 진행된다. LG유플러스는 전산센터 및 통신망과 같은 물리적 인프라뿐 아니라 고성능 GPU(그래픽 처리 장치)와 AI 개발·운영 자동화 기술인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 기반의 AI 모델 운영 환경까지 폭넓은 기술 지원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백석대는 안정적인 AI 연구 및 서비스 개발 환경을 확보하게 된다.
플랫폼 측면에서는 LG AI연구원의 초거대 언어모델 '엑사원(EXAONE)'과 자체 개발한 경량모델 'ixi-RAG'(검색 증강 생성 AI), 'PortertuM(포터튜움)' 등을 활용해 백석대만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 기반 AI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플랫폼은 향후 학사 운영, 교육 행정, 지역 산업 연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요구되는 AI 서비스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대학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AI 기능을 손쉽게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셈이다.
나아가 양측은 대학 운영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AI 워크 에이전트(Work Agent)' 개발에도 힘을 모으고 있다. 여기에는 △학생 개개인의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AI 학사 관리 △대학 축제 및 행사 기획·운영 보조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기반 AI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향후 교육 및 행정 전반으로 AI 활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는 외식 및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 지역 밀착형 모델과 매장 운영 고도화를 위한 DX(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추진 중인 더본코리아도 협력사로 참여한다. LG유플러스는 백석대, 더본코리아와의 긴밀한 실무 협의를 통해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린 역할을 분담했으며 기술 인프라 및 AI 플랫폼 구축이라는 핵심 실행 부분을 담당한다.
권용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전무)은 “이번 협력은 지역대학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LG유플러스의 도전과 변화의 일환이자 자사가 축적해 온 AI 기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도전과 변화를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AI 플랫폼과 인프라를 제공하고 지역 인재 양성과 균형 발전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