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2025 제약바이오 포럼] 신지윤 신테카바이오 팀장, "향후 AI 신약개발이 환자 개인 별 맞춤 치료에 도웅"

박연수 기자 2025-02-25 17:38:42

25일 이코노믹데일리 '2025 제약바이오 포럼' 마지막 연설자로 나서

신약 발굴 단계에 AI가 효과적…10개에서 100개로 가능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2025 이코노믹데일리 제약바이오 포럼'에서 신지윤 신테카바이오 AI신약개발 전략기획팀장이 주제발표 하고 있다. [사진=AJP 한준구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신약개발이 향후 난치, 불치병 및 최초 신약을 개발하는 것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2025 이코노믹데일리 제약바이오 포럼' 마지막 강연주자로 나선 신지윤 신테카바이오 AI 신약개발 전략기획팀장은 AI를 통한 신약개발이 미래에는 환자 개인 별 맞춤 치료제 및 치료법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팀장은 신약개발 분야가 지속적으로 효율이 악화되고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약품이 적었던 시기에는 개발이 비교적 쉬웠지만, 신약개발이 복잡해진 현재는 신약개발이 어려워졌다"며 "이에 따라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AI가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AI를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으로 '발굴'을 제시했다. 신 팀장은 "현재는 모든 신약개발 프로그램을 AI가 대체할 순 없지만 신약 발굴 과정에서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과거 1년에 한 회사에서 많아야 10개를 발굴했다면 AI를 활용하면 100개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AI 신약개발 산업에 자리하고 있는 한계점과 극복방안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신 팀장은 "흔히들 AI 신약개발이라고 하면 AI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한다고 착각해 거부감이 있는데, AI는 단순히 '지도' 역할만 수행한다"며 "지도를 보고 운전자가 도착지로 향하듯 연구원들이 AI의 발굴을 기반으로 신약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동일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의 역할로서는 신약개발 '컨트롤 타워'를 제안했다. 코로나 19와 같이 사회적 팬데믹 상황을 대비한 신약개발을 위해선 데이터를 공유해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현재 애벌레와 같은 AI 신약개발 산업이 나비가 되는 순간이 왔으면 좋겠다"며 발표를 마쳤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