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보험사들은 건전성 제고를 위해 채권 발행을 늘려 자본을 확보하는 중이다. 보험사 중 올해 처음으로 자본확충에 나선 한화손해보험은 지난달 20일 채권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3000억원 모집에 5410억원의 매수 주문을 확보했고, 지난달 31일에는 5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이달 6일에는 DB생명보험이 2000억원을 목표로 후순위채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동양생명은 앞서 지난달 13일 이사회에서 7000억원 규모의 자본성 증권을 발행하기로 했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속속 채권 발행을 하는 것은 자산 감소 방지를 위해서다. 보험사들은 지난해 도입된 신지급여력제도(K-ICS)에 따라 부채와 자산을 시가로 평가받는데, 금리가 하락하면 보험부채 할인율이 떨어져 자산도 줄어든다. 아울러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른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인한 건전성 규제 강화로 지급여력비율이 떨어지는 것도 막아야 한다.
이에 따라 보험사의 자본 확충은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찍기도 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들이 발행한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는 총 8조6550억원으로 전년 총규모(3조1540억원)를 크게 웃돌았다.
보험사들은 건전성 제고를 위해 채권 발행을 늘려 자본을 확보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자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자본성증권은 만기가 길고 차환 조건으로 발행돼 보험업법상 일부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사실상 부채와 같다. 특히 중·소형사는 대형사보다 낮은 신용등급으로 발행금리가 높아 부담이 더 크다.
특히 지난해 발행된 자본성증권 금리는 대부분 연 4~6%로, 지난해 신규 발행 물량에 따른 추가 이자 부담액이 연 4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 일각에선 자본성증권의 이자가 최소 4%인 반면 국내 보험사들의 운용자산이익률은 평균 연 3.4%에 불과해 손해를 보고 있는 것과 같다고 분석한다.
이에 보험사들이 자본성증권 발행 말고도 자산·부채 듀레이션(만기) 매칭, 공동재보험 등을 활용해야 한단 제언이 나온다.
다만 올해도 금융당국이 할인율 정상화, 계리적 가정 합리화를 추진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면서 자본성증권 발행이 더 많아질 전망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당국의 규제가 강화되면 지급여력비율도 하락하기 때문에 채권 발행 규모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