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인물

[파워피플] 'M&A 고삐' 이정애 LG생건 사장, 올해 '변곡의 해' 맞이할까

김아령 기자 2025-01-16 06:00:00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 [사진=LG생활건강]

[이코노믹데일리] 임기 1년을 앞둔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이 올해 실적 부진을 털어내는 ‘변곡의 해’를 맞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사장은 지난 2022년 취임 이후 2년 동안 체질 개선과 소규모 인수합병(M&A)을 통해 변화를 모색해 왔으나 실적 반등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장은 올해 미주 시장의 집중적인 투자와 적극적인 M&A를 통해 차별적 미래 가치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 사장은 2022년 12월 LG생활건강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당시 이 사장은 18년이나 대표 자리를 지켜 온 차석용 부회장이 물러난 자리에 올라서며 주목받았다.
 
차 부회장 취임 이후 성장가도를 달리던 LG생활건강은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정책의 직격탄을 맞으며 2021년 4분기부터 하락세로 돌아서며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에 LG그룹은 18년 만에 수장 교체 카드를 꺼내 조직 분위기를 쇄신하려 했고, LG그룹 사상 처음으로 여성 사장을 발탁했다.
 
1963년생인 이 사장은 이화여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1986년 LG생활건강 신입사원 공채에 합격해 기업 사회에 첫 발을 내디뎠다. 그는 2011년 생활용품 사업부장, 2015년 럭셔리 코스메틱(화장품) 사업부장, 2018년 리프레시먼트(음료) 사업부장 등을 거치는 등 LG생활건강의 주력 제품 마케팅을 진두지휘했다.
 
특히 이 사장은 LG생활건강 화장품 제품의 고급화를 이끈 일등 공신으로 알려져 있다. LG생활건강은 2010년대부터 경쟁사의 저가 화장품 공세에 맞서 브랜드 고급화 전략을 추진했는데, 이 사장은 2015년 화장품 사업 부장을 맡은 뒤 ‘후’, ‘숨’, ‘오휘’ 등 럭셔리 화장품을 연달아 론칭했다.
 
화장품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낸 이 사장은 2019년부터 음료 사업을 맡아 ‘코카콜라’, ‘몬스터 에너지’, ‘씨그램’ 등 주요 브랜드의 성장을 이끌었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내수 경기 부진으로 녹록지 않은 상황이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음식 배달 서비스와 협업해 음료 브랜드의 노출도를 높이는 등 발 빠른 대응을 펼쳤다.
 
하지만 이 사장 취임 후 LG생활건강은 업계 안팎 기대 만큼의 쇄신은 이뤄내지 못했다. 2023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8048억원, 4870억원을 나타내며 전년 대비 5.3%, 31.5%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 들어 매출 1조7287억원, 영업이익 1510원을 기록하며 10개 분기 만에 실적 반등세를 보였으나, 3분기 매출(1조7136억원)과 영업이익(1061억원)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9%, 17.4% 감소했다.
 
중국 시장과 면세 부문의 저조한 실적이 발목을 잡았다. 면세점 업황 둔화와 해외 사업 효율화 영향으로 전체 매출이 줄어들었다. 중국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북미, 일본 등에 힘을 쏟았지만 시간이 더 필요했다.
 
이 사장은 취임 초기부터 조직의 비효율적인 사업 부문을 정리하고 체질 개선에 집중해 왔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가맹점 사업을 철수하고 일부 사업 부문의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사장은 인수합병을 통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강화 작업도 펼치고 있다. 2023년 9월 색조 화장품 브랜드 ‘힌스’(hince)를 보유한 비바웨이브의 지분 75%를 약 42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취임 후 첫 번째 M&A 사례로, 상대적으로 포트폴리오가 약했던 색조 화장품 시장 공략을 위해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이 사장은 LG생활건강 해외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효율화를 이뤄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는 M&A로 구축한 인프라를 활용해 현지 시장 상황과 고객 특성에 맞는 제품과 브랜드를 육성하고 있다.
 
이 사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알파 세대(2010년대 초∼2020년대 중반 출생자) 고객에 기반을 둔 브랜드 M&A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미래 성장성과 수익 기여도가 미흡한 사업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효율화로 사업의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올해 중점 사업 전략으로 ‘글로벌 사업 재구조화(리밸런싱)’를 제시했다. 그는 “미주 시장에서 영 제너레이션(젊은 세대)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을 보강하고 마케팅 투자에 집중하겠다”며 “아마존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채널에서의 퀀텀 점프와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LG생활건강은 지난해 북미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에서 더페이스샵 미감수 라인, CNP 립세린 등이 좋은 성과를 내면서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구강 관리 제품과 색조 브랜드 힌스, 더마 화장품 CNP를 중심으로 온라인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동남아시아와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는 현지 특성에 맞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채널 확장에 집중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중국에서는 주력 브랜드인 더후의 리브랜딩 성과를 다지면서 수익성에 기반한 성장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상품 기획부터 연구개발(R&D), 제품 출시까지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혁신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사장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과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는 체계를 활용해 기민하게 제품화할 수 있는 R&D 패스트트랙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 주도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외 이커머스 시장 공략과 디지털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역량 강화, 인공지능(AI) 적극 활용 등을 제시했다.
 
이 사장은 “외부 디지털 솔루션 기업과 협업을 통한 제품 개발로 차별적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며 “미래 성장성과 수익 기여도가 미흡한 사업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효율화로 사업의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