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에도 현대자동차·기아,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이 협력을 맺어 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중저가 보급형 배터리인 LFP는 에너지 밀도가 높지 않아 주행거리가 짧다. 그러나 전기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자동차 업체들이 증가하면서 LFP 배터리 수요도 확대되는 추세다. 여기에 LFP배터리는 과충전·과방전 가능성이 낮아 배터리셀 열화 현상도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이번 협력은 LFP 배터리 양극재를 제조할 때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총 4년 동안 진행된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 등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을 의미한다.
기존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만 생산하던 국내 배터리 3사도 올 초 LFP 배터리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말에 르노의 전기차 자회사 '암페어'에 파우치 LFP 배터리 59만대분을 공급할 계획이다. SK온도 이르면 2026년 전기차용 LFP 배터리 양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삼성SDI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 배터리를 2026년에 만들 예정이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전기차 화재와 중국 전기차의 원가 경쟁력에 밀려 이제 국내 업체들도 시작하는 것 같다"며 "기존에는 주행능력과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 NCM에 비해 부족해 다들 미루고 있었지만 중국의 전기차 시장 성장에 어쩔 수 없는 움직임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재활용'이다. LFP 배터리는 원자재 가격이 저렴하며 재활용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건비, 전기세 등 비용적인 측면에서 재활용의 가치가 떨어진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은 LFP 배터리 재활용이 어려워 그냥 땅에 묻어 버린다"며 LFP 배터리의 재활용 한계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