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지난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한상의는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의 20~39세 청년층 전입·전출 추이를 분석했다. 분석 대상에는 교통 접근성, 문화·의료시설 등 정주 여건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와 첨단 기업 사업체 수도 포함됐다.
보고서는 전국 사업체 중 첨단 기업 비중이 2006년 10.7%에서 2021년 19.9%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첨단 기업 사업체 비중은 12.7%에서 23.8%로 늘어난 반면 비수도권은 9.0%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첨단 기업 사업체 수에서 나타난 격차는 청년층 인구 유출·입 숫자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비수도권에서 타 지역으로 전출한 인구 중 청년층 비율은 2019년부터 50%를 넘기 시작해 2021년에는 51.2%까지 증가했다. 타 지역으로 전출한 청년층 가운데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긴 비중은 2015년 43.9%에서 2021년 46.9%로 늘었다.
이는 지난 5월 대한상의가 소통 플랫폼을 통해 조사한 결과와 비슷하다. 대한상의가 전국 2030세대 600명에게 비수도권 거주 의향에 어떤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 물은 결과 정주 여건(41.2%)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연봉·일자리(29.8%)였다.
보고서는 "개성과 취향을 존중하는 2030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교통 접근성을 만족시킬 양질의 정주 환경이 갖춰지고 안정적 소득을 제공하는 좋은 일자리가 생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청년과 기업이 원하는 곳에 근로자 임대주택 구축을 지원하고 산업단지에 조성되는 복합문화센터는 노후 산단이 아닌 첨단 기업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