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ESG

태양광 산업에 우호적인 인도, 향후 2년 내 세계 2위 태양광 제조국될 것 

박경아 기자 2024-06-18 06:00:00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태양광 비중 높아...전 세계 태양광 발전 5위국

글로벌 기상이변으로 인한 폭염장기화…태양광 등 발전시설 확장시급

인도 태양광 발전소 패널 [사진=AFP 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태양광 제조국 분야에서 세계 1위인 중국의 뒤를 향후 2년 내 세계 2위 태양광 제조국이 될 나라는? 바로 인도다.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가 지난해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시점에서) 향후 3년 내로 인도는 태양광 모듈 생산능력 10GW를 보유하게 돼 중국의 뒤를 잇는 세계 2위 태양광 제조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IEEFA 보고서는 인도의 누적 모듈 생산능력은 2022년 3월 18GW에서 2023년 3월 38GW로 2배 이상 증가했다며 인도 정부의 우호적인 정책 환경으로 인해 태양광 제조 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를 인도 태양광 제조 생태계 성장을 촉진시킨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코트라(KOTRA)해외시장뉴스가 지난 5일 전한 인도 암바다드무역관의 인도 태양광 시장 소식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PLI와 함께 구매 보조금, 세금 감면 등을 제조사와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인버터 용량에 따라 인센티브 규모 차이가 있으며 인도 정부는 농촌지역 전기공급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 발전을 적극 장려하고 있고 지역에 따라 특별 지원을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도는 태양광 생산뿐 아니라 태양광 발전 분야에서도 글로벌 선도국가다. 재생에너지 생산 용량 세계 4위 국가인 인도는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 용량에서 중국(393GW), 미국(113GW), 일본(79GW), 독일(67GW)에 이어 세계 5위(63GW)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2016~2020년 사이 연평균 17%의 성장세를 보였다.

인도 정부는 2040년까지 인도의 에너지 수요를 1만5820테라와트시(TWh)로 예상하고 있다. 태양광을 선두로 풍력, 수소 등 재생에너지를 통한 공급 비중을 최대로 하고, 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를 통한 에너지 생산 비중은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파리협정(Paris Agreement, 2015)을 준수하고, 에너지 자급율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280GW의 태양광 에너지를 포함해 520GW의 재생에너지 용량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 정부가 태양광을 앞세워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을 늘리는데 역점을 두는 것을 글로벌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해 나날이 급증하는 전력수요 때문이다.

연합인포맥스의 14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지난 5월부터 섭씨 50도를 웃도는 폭염이 장기화하며 피해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인도 국가질병통제센터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인도에서 약 2만5000명이 열사병에 걸리고 그중 56명이 사망했다.

불볕 더위가 장기화하면서 냉방 전력수요 증가를 촉발, 인도의 4~5월 전력 소비량은 각각 전년 대비 10.9%, 14.5% 늘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에는 인도의 일일 최대 전력수요가 250GW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김근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에서 “인도 북부와 중부 중심으로 이른 더위가 시작되고 5월 기온이 50도에 달하는 이례적 폭염이 지속되고 있다”며 “인도 정부가 당장의 전력난 해결을 위해 석탄 생산량 확대 계획을 발표했으나 기후 정책과 장기적 에너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신재생 에너지 개발 역시 필수적인 상황이므로 태양광, 풍력발전 설비 건설 등이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