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국제 공시 기준 표준화 작업이 막바지에 돌입한 가운데 공시 이후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도진 중앙대학교 교수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1층 EC룸에서 열린 '제12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에 참석해 ESG 국제 공시 표준화와 관련, "국내 기업과 산업 특성에 맞는 지속 가능성 공시 기준을 제정하되 국가 전략적인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시기준 의무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현재 진행중인 ESG 국제 공시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초안 그대로 확정될 경우 국내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은 지난해 11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설립하고 ESG의 국제 표준 격인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정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3월 공개한 IFRS 지속 가능성 공시기준 공개 초안에 대한 전 세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 말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ESG 국제 공시 기준이 확정될 경우 그간 우후죽순 존재했던 ESG 평가 기준이 획일화될 수 있어 효율적인 기업 평가가 진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다만 비재무정보의 재무 정보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과 해당 공시 기준을 모두 준수했을 때 발생할 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태다.
김동수 김앤장ESG경영연구소장은 “2023년 ESG 경영의 최대 화두는 인류가 직면한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어떤 기업이 해결해 사업 모델로 만들어 내는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며 "기업들이 사회적 요구를 부담으로만 여기지 말고 새로운 사업 창출 기회로 여겨 적극적으로 주목해야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고 있다.
정도진 중앙대학교 교수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1층 EC룸에서 열린 '제12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에 참석해 ESG 국제 공시 표준화와 관련, "국내 기업과 산업 특성에 맞는 지속 가능성 공시 기준을 제정하되 국가 전략적인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시기준 의무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현재 진행중인 ESG 국제 공시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초안 그대로 확정될 경우 국내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은 지난해 11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설립하고 ESG의 국제 표준 격인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정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3월 공개한 IFRS 지속 가능성 공시기준 공개 초안에 대한 전 세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 말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ESG 국제 공시 기준이 확정될 경우 그간 우후죽순 존재했던 ESG 평가 기준이 획일화될 수 있어 효율적인 기업 평가가 진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다만 비재무정보의 재무 정보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과 해당 공시 기준을 모두 준수했을 때 발생할 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태다.
정 교수는 “ISSB에서 만들고 있는 ESG 공시 기준이 향후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금융위원회가 원안 그대로 전면 도입할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진다"라며 "전체적으로 ESG 공시 의무화 관련 기업의 선택권을 넓히고 ISSB 기준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도입해 기업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동수 김앤장ESG경영연구소장은 “2023년 ESG 경영의 최대 화두는 인류가 직면한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어떤 기업이 해결해 사업 모델로 만들어 내는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며 "기업들이 사회적 요구를 부담으로만 여기지 말고 새로운 사업 창출 기회로 여겨 적극적으로 주목해야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