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3년 3개월만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우리나라가 인상 기조를 따라갈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 부담이 40조원가량 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7일 '미국 금리 인상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통화량 등 경제 변수를 바탕으로 미국의 적정 단기국채 금리 수준을 추정한 결과, 6개월 만기 미 재무부 채권의 적정금리는 2.14%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 평균 재무부 채권 금리 수준이 0.10%였음을 고려하면 앞으로 2.04%포인트 더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한경연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다면, 단기국채 금리가 적정수준을 보일 때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투자은행들은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4~7회 인상한 데 이어 내년에도 추가적인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가 2.0~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단기 국채금리가 미국 적정 금리 상승 폭인 2.04%포인트만큼 올라갈 경우 가계대출 금리는 2.26%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39조7000억원에 달했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 맞출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40조원가량 증가하게 된다는 게 한경연의 전망이다.
한경연은 또 미국과 한국 간 금리 차이를 바탕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비율을 추정한 결과, 미국의 6개월 만기 채권 금리가 작년 4분기 대비 2.04%포인트 오른 가운데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한국 시장에서 유출되는 외국인 투자자금 규모는 31억5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미국의 이번 금리 인상을 계기로 '글로벌 긴축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계부채와 한계기업 비율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업 경쟁력 제고와 민간 일자리 창출 확대 등을 통해 민간의 금리 인상 방어력을 확충하는 한편, 재정건전성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7일 '미국 금리 인상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통화량 등 경제 변수를 바탕으로 미국의 적정 단기국채 금리 수준을 추정한 결과, 6개월 만기 미 재무부 채권의 적정금리는 2.14%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 평균 재무부 채권 금리 수준이 0.10%였음을 고려하면 앞으로 2.04%포인트 더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한경연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다면, 단기국채 금리가 적정수준을 보일 때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투자은행들은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4~7회 인상한 데 이어 내년에도 추가적인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가 2.0~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단기 국채금리가 미국 적정 금리 상승 폭인 2.04%포인트만큼 올라갈 경우 가계대출 금리는 2.26%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39조7000억원에 달했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 맞출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40조원가량 증가하게 된다는 게 한경연의 전망이다.
여기에 통계청이 측정한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비율(57.4%)을 고려하면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당 이자 부담은 340만원씩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한경연은 또 미국과 한국 간 금리 차이를 바탕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비율을 추정한 결과, 미국의 6개월 만기 채권 금리가 작년 4분기 대비 2.04%포인트 오른 가운데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한국 시장에서 유출되는 외국인 투자자금 규모는 31억5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미국의 이번 금리 인상을 계기로 '글로벌 긴축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계부채와 한계기업 비율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업 경쟁력 제고와 민간 일자리 창출 확대 등을 통해 민간의 금리 인상 방어력을 확충하는 한편, 재정건전성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