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페이전쟁 2라운드 서막] ①빅테크 ‘종합지급결제권’ 날개 다나?…전금법 개정 앞둔 혼돈의 페이 시장

신병근 기자 2021-06-22 06:00:00

빅테크사 종합지급결제권 획득 여부에 관심 집중

빅테크 맹공격에 금융사 ‘자체페이’ 반격 나서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제공]

[데일리동방] 국회가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개정안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인 가운데, 간편결제 서비스로 대표되는 ‘페이’ 시장을 둘러싼 빅테크(대형 정보통신업체)와 금융회사 간 경쟁이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금법 개정안의 골자인 ‘종합지급결제권’을 확보한 빅테크의 페이 시장 잠식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데이터에 기반을 둔 전통 금융사들 역시 대대적인 반격을 예고하고 나섰다.

◇“전금법 개정 빅테크에 특혜 주는 것”…업계 안팎 논쟁 과열

21일 금융권과 정보통신 업계에 따르면 정치권의 전금법 개정안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간편결제 시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빅테크와 기존 금융권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먼저 국내 간편결제 시장을 보면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국내 페이 시장의 일일 평균 이용금액은 45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6% 급성장했다. 11번가와 G마켓, 쿠팡 등 유통공룡들의 이커머스 페이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3년 사이 카카오와 네이버 등 빅테크의 페이 서비스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게 주효했다.

최근에는 정치계와 금융권의 화두로 떠오른 전금법 개정안 논의가 본격화돼 페이 시장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금법 개정안의 핵심은 빅테크에 종합지급결제권을 부여하느냐 여부에 있다.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1월 디지털금융 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대표발의한 개정안 관련 찬반 의견이 여전히 팽팽한데, 현재 소관위원회 심사가 진행 중이다.

개정안 통과로 빅테크가 종합지급결제권을 획득한다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자체 계좌를 개설해 자금을 이체·결제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게 된다. 더욱이 ‘마이페이먼트’라 일컫는 지급지시전달업 진출에도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0만명 이상의 고객 유입으로 트래픽을 형성하며 페이 시장에 강세를 보인 빅테크들에 날개를 달아주는 셈이다.

전금법 개정을 반대하는 진영이 개정안을 ‘빅테크 특혜법’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전통 금융권역의 역차별이 심화된다는 이유에서다. 국회 정무위 소속 배진교 정의당 의원은 “(개정안의) 종합지급결제 삭제와 빅테크에도 동일업무·동일규제 반영이 돼야 한다”며 “기존 전자금융업을 자급이체업·대금결제업·결제대행업으로 정비하고 지급지시전달업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권 노동조합도 전금법 개정을 반대하고 나섰다. 노조 측은 전통 금융사의 직격탄을 우려하는 동시에 빅테크에도 합당한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고객 자금을 수취하는 전자금융업자는 이용자예탁금 수취업자로 규정해 예탁금의 수취에 부합하는 금융규제를 부과해야 한다”고 전했다.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김병욱 민주당 의원,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공동 주최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국회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핀테크산업협회 제공]

◇밥그릇 뺏길 위기 직감…전통 금융사 “페이앱 고도화 전력”

이처럼 전금법 개정과 밀접한 페이 사업과 관련해 5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위기의식은 극에 달한 상태다. 이에 그룹 계열사 중 고객 데이터가 집결하는 카드사 중심의 페이 서비스를 고도화화는 모습으로, 5대 그룹에서는 KB금융이 지난해 10월 가장 먼저 KB페이를 출시했다.

KB페이는 KB국민카드의 간편결제, KB국민은행의 계좌 결제 등이 지원되며 그룹 계열사의 서비스들과 통합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신한금융 ‘신판페이’, 하나금융 ‘원큐페이’, 우리금융 ‘우리페이’ 등 각 그룹의 페이먼트 중심 통합플랫폼 구축이 실행 중이다.

특히 농협금융은 타사와의 차별화를 위해 금융부문과 더불어 농협중앙회 경제사업부문과의 협업을 시도하고 있다. 올 하반기 선보일 ‘NH페이’에 농협금융 서비스 뿐만 아니라 농협하나로유통 서비스를 탑재해 농축산식품 구매 플랫폼을 구동할 계획이다.

빅테크가 트래픽 중심 접근성이 뛰어나다면 전통 금융사들은 수십년에 걸쳐 쌓아온 고객데이터와 카드, 은행, 증권, 보험, 제2금융 서비스 등 그룹 포트폴리오 시너지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각 그룹은 올해 내 페이 서비스를 바탕으로 앱 형태의 통합플랫폼을 잇따라 선보일 예정이다.

이들 그룹은 빅테크와 전략적 제휴도 늘려가고 있다. 플랫폼 사업자는 전통 금융 영역으로 사세를 확장할 수 있고, 금융그룹은 빅테크가 선점한 페이 서비스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양 측이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전략에 기인한다.

우리은행이 지난달 네이버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이다. 양 사는 ‘MZ세대, B2B2C(기업 간 거래와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를 결합한 전자상거래 형태) 대상 금융‧플랫폼 융합 콘텐츠 공동 개발과 마케팅’과 관련해 맞손을 잡았다.

업계 관계자는 “빅테크는 탄탄한 고객 트래픽을 중심으로 전통 금융사의 고유 영역을 공습하고 있는데, 최근 페이 영역을 놓고 카드사 고객의 이탈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금융그룹의 페이 앱(어플리케이션)이 완전한 통합플랫폼 기능을 갖출 시기가 임박했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업계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