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미래 교통'이 내 손안에…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DRT 호출 서비스로 '기술 대중화'

선재관 기자 2025-11-12 13:37:54
'스스로 움직이는 버스' 카카오T로 부른다 서울 상암서 '자율주행 DRT' 서비스 시작
카카오모빌리티, 상암에 자율주행 DRT 서비스 도입.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모빌리티가 서울 상암 지역에서 '카카오 T' 앱 하나로 호출부터 결제, 탑승까지 가능한 '자율주행 수요응답형교통(DRT)'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는 자율주행이라는 미래 기술을 '카카오 T'라는 친숙한 플랫폼을 통해 대중화하고 향후 교통 소외 지역의 이동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2일 서울시 자율주행차 운송 플랫폼 통합 운영의 일환으로 상암 지역에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DRT는 이용자의 호출에 따라 실시간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해 운행하는 차세대 대중교통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는 자율주행 기술기업 에스더블유엠(SWM)과 협력해 상암 DMC역 부근 'A02' 노선에서 운영된다.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차량 1대를 포함해 총 2대의 자율주행차가 투입된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카카오 T 앱 내 'DRT' 아이콘을 선택한 뒤 승하차 정류장과 탑승 인원 등을 정해 호출하면 된다. 배차가 완료되면 예상 대기 시간, 차량 정보, 실시간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시범 운행 기간 동안에는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강남, 세종, 판교 등에서 축적한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상암 서비스를 시작으로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이용자 수용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농어촌, 고령화 지역, 신도시 외곽 등 대중교통 사각지대에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확대 적용해 주민들의 이동권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카카오 T 앱에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경험해 보시길 기대한다"며 "계속해서 다양한 형태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며 기술에 대한 이용자 수용도를 높이고 자율주행 생태계를 함께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