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디지털 주권'과 '데이터 보안'을 전면에 내세운 한국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보인다. 글로벌 수준의 고성능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면서도 모든 데이터는 국내에 저장·관리하고 데이터 암호화의 전 과정을 고객이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KT는 12일 MS 애저(Azure) 기반의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특히 데이터 보안과 규제 준수가 중요한 금융·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적용되며 향후 다양한 산업군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의 핵심은 '소버린 클라우드' 즉 데이터 주권을 완벽하게 보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T는 △데이터의 저장·전송·사용 전 과정 암호화 △고객의 데이터 관리 권한 강화 △모든 데이터의 국내 저장 및 관리 등 3가지 원칙을 적용했다.
특히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까지 암호화해 외부 접근을 원천 차단하는 '기밀 컴퓨팅' 기술과 고객이 직접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하드웨어 기반 보안 장치 '관리형 HSM'을 도입해 최고 수준의 데이터 보안을 구현했다.
이번 서비스 출시로 KT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MSP)로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기존에 제공하던 KT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더해 MS 애저 기반의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까지 강력한 멀티 클라우드 라인업을 구축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유서봉 KT Enterprise부문 AX사업본부장(상무)은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고객의 디지털 주권은 강화하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라며 "고객들이 신뢰도 높은 소버린 클라우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적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