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5일) 기준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의 순자산액은 103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8일 상장 이후 7영업일 만에 순자산액 1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ACE ETF(상장 당시 설정액 1000억원 이상 상품 제외) 중 1000억원 돌파 속도가 가장 빠르다.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는 인공지능(AI)을 4개 분야로 나눠 AI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4개 분야는 △컴퓨팅 인프라 △에너지 인프라 △AI하드웨어 △AI소프트웨어로,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부터 차세대 주도 기업까지 하나의 ETF로 투자 가능하다.
액티브 상품인 만큼 시장 흐름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다. 펀드 운용역은 △점유율 △시가총액 △빅테크 기업과의 파트너십 여부 △특허 기술력 등을 반영해 편입 종목을 결정하며, AI 발전 단계를 반영해 비중 조정을 할 방침이다.
현재 4개 산업 중 AI 소프트웨어가 약 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AI 소프트웨어 외에는 컴퓨팅 인프라와 에너지 인프라가 각 20%씩, AI 하드웨어가 약 15% 비중으로 편입돼 있다. 편입비 상위권 종목은 △오라클(9.06%) △레딧(9.03%) △메타(9.00%) △오클로(8.75%) △앱플로빈(7.82%) △로빈후드(7.41%) △블룸 에너지(6.84%) 등이다.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의 투자 매력은 개인 투자자 순매수로 이어지고 있다.
상장 이후 전일까지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가 기록한 개인 순매수액은 844억원에 달한다. 특히 상장 직후 3영업일 만에 개인 순매수 588억원이 유입됐다. 올해 신규 상장 ETF 중 상장 3영업일 만에 개인 순매수 500억원을 돌파한 것은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가 유일하다.
정유태 글로벌주식운용부 책임은 "ACE 미국AI테크핵심산업액티브 ETF는 AI 발전 상황 등을 반영해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상품"이라며 "빅테크 기업뿐 아니라 차세대 AI 기업까지 AI 산업 전체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투자 매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ETF와 같은 빅테크 투자 상품과 함께 투자 시 AI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조현준 효성 회장 아픈손가락 진흥기업...경영실패 드러나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6/20251106150344733404_388_136.png)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②] SUV부터 세단까지…쏘렌토·텔루라이드·K5까지 3Q 이후에만 리콜 34만대 경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44959133516_388_136.jpg)




![[증도가자 문화재 지정] ③ 문화재 지정에 걸림돌 되는 고인물은 무엇? 증도가자와 문화 권력의 교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00521666890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