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2일 입장문을 통해 “걸핏하면 고액 관세로 위협하는 것은 중국과 공존하는 올바른 길이 아니다”며 “우리는 싸움을 바라지 않지만 그렇다고 두려워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최근 미국의 100% 관세 인상과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에 대해 “미국은 오랫동안 중국에 대해 차별적 처사를 하며 반도체 설비 등 수많은 상품에 일방적 확대관할(일국의 법률 적용 범위를 나라 밖까지 확대하는 것) 조치를 실시해왔다”며 “미국의 통제 리스트는 3000건이 넘지만 중국의 수출 통제 리스트 물자는 900여건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9월 중미 마드리드 회담 이래로 불과 20여일 동안 미국이 다수의 중국 기업을 수출 통제 리스트와 특별지정제재대상(SDN) 리스트에 추가했다”며 “중국의 우려와 선의를 무시한 채 고집스럽게 대중국 해운·조선업 대상 무역법 301조 조치를 취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이 조속히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중미 경제·무역 협상 메커니즘의 역할을 계속 발휘하기를 촉구한다”며 “만약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 또한 단호히 상응 조치를 취해 자신의 정당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중국은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과 함께 지난 9일 희토류 합금 수출 통제 강화했다. 오는 14일부터는 미국 관련 선박에 대해 순t(톤)당 400위안(약 8만원)의 ‘특별 항만 서비스료’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10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한 기존 관세율(평균 55%)에 100%를 추가하고 핵심 소프트웨어를 수출 통제한다는 조치로 맞불을 놨다.
미중 양국은 지난 7월 이후 무역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고위급 협상을 이어왔으나, 상호 제재 조치가 잇따르면서 긴장 수위는 다시 높아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