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LCK, 라이엇게임즈코리아에 흡수합병…'게임-리그' 통합 시너지 강화

선재관 기자 2025-09-30 14:49:14
5년 만의 복귀, LCK는 왜 다시 라이엇의 품으로 돌아갔나 "더 큰 성장 위한 전략적 결정…팀 수익 기반 강화될 것"
LCK, 합병에 따른 개인정보 이전 안내문 [사진=LCK 홈페이지]

[이코노믹데일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를 운영해 온 독립 법인 LCK 유한회사가 출범 5년 만에 모회사인 라이엇게임즈코리아에 흡수합병된다. 

2021년 프랜차이즈 출범과 함께 투명한 운영을 위해 분리됐던 리그 운영 주체가 다시 게임 개발사와 하나가 되는 것으로 ‘게임과 리그의 통합’을 통한 시너지 강화와 리그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핵심 목표다.

LCK는 2025년 10월 30일을 합병기일로 라이엇게임즈코리아에 흡수합병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병으로 LCK 유한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게임단, 임직원 등의 개인정보는 라이엇게임즈코리아로 이전된다.

◆ 표면적 이유 ‘더 큰 성장’…이면에는 ‘지속가능성’ 위기

이번 합병의 가장 큰 이유로 LCK 측은 ‘더 큰 성장’을 꼽았다. LCK는 “게임과 이스포츠가 같은 울타리 안에서 기획부터 실행까지 연결됨으로써 팬 여러분들에게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팀들에게는 더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만들고자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합병 이후에는 글로벌 e스포츠 수익을 통합 관리하고 팀들에게 배분하는 GRP(Global Revenue Pool) 구조가 LCK에 더 유연하게 적용되고 게임과 연계된 통합 상품이나 캠페인 기획이 용이해져 팀들의 수익 기반이 한층 탄탄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합병은 LCK의 화려한 인기 이면에 숨겨져 있던 ‘지속가능성’ 위기에 대한 라이엇 게임즈의 정면 대응으로 풀이된다. 수년간 LCK 팀들은 선수들의 높은 연봉을 감당하지 못해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려왔다. 

이에 라이엇게임즈코리아와 LCK는 올해 초 2025년 게임단들의 분담금 300억원을 감면하는 대승적인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독립 법인 체제로는 리그와 팀의 장기적인 재정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결국 이번 합병으로 이어진 것이다.

◆ 팬들의 우려…“LCK는 그대로”

합병 소식이 전해지자 팬들 사이에서는 리그의 정체성이나 운영 방식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대해 LCK 측은 “이번 합병은 종료가 아니라 게임과 리그를 더 단단히 연결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선을 그었다.

팬들이 가장 우려하는 리그의 정체성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LCK 측은 “LCK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된다. LCK 유한회사 설립 이전에도 LCK라는 호칭을 사용해왔던 것처럼”이라고 못 박았다.

또한 “2026 시즌은 공지된 포맷/규정대로 진행될 예정이며 합병과 무관하게 팬들에게 최고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혀 리그 구조에도 당분간 변동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결국 이번 합병은 프랜차이즈 초기의 ‘투명성 확보’라는 명분 아래 시도됐던 독립 법인 체제의 한계를 인정하고 ‘게임-리그 통합’이라는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델로 회귀하는 전략적 결정이다. LCK가 이번 체질 개선을 통해 더욱 건강한 글로벌 리그로 거듭날 수 있을지 전 세계 LoL e스포츠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