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에스티팜, 제2 올리고동 준공…글로벌 Top CDMO 도약 가속

안서희 기자 2025-09-25 15:01:44
2분기 올리고 매출 435억원, 전년비 83% 증가 RNA 치료제 수요 확대, CMO 증설 효과 본격화 전망 HIV 신약 임상·mRNA/LNP 사업으로 성장 동력 강화
에스티팜 경기 시흥 반월공장 전경[사진=에스티팜]

[이코노믹데일리] 에스티팜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생산 역량을 대폭 확충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에스티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올리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435억원 기록했다. 특히 고지혈증 치료제에서 90억원, 혈액암 치료제 220억원,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61억원을 달성했으며 설비 사용 수수료도 23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임상용 품목 출하가 4분기에 집중돼 있는 만큼 3분기까지는 상업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매출 성장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더불어 6월 말 기준 수주 잔고도 약 3200억원에 달해 중장기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에스티팜은 지난 22일 경기도 시흥 반월공장에서 제2 올리고동 준공식을 열고 향후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증설로 올리고 생산 능력은 하반기부터 30% 이상 확대되며 생산 효율성 개선 효과까지 반영될 경우 향후 매출 성장 폭은 시장 기대치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 회사는 2027년까지 추가 증설도 추진해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에스티팜은 2026년을 기점으로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성장세를 가시화할 전망이다. 회사가 제시한 핵심 과제는 △저분자화합물 API CDMO(위탁개발생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올리고 API CMO(위탁생산) 확대 △자체 신약 성과 △mRNA/LNP 상업화 등 네 가지다.
 
이에 유지투자증권은 저분자화합물 API CDMO의 경우 HIV·HCV 치료제 공급 경험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의 신뢰를 확보한 만큼 이러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와 파트너십 다변화가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API CMO 부문에서는 RNA 치료제가 희귀질환에서 고지혈증 치료제 렉비오와 트린골자 등 대사질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스티팜의 생산 능력 증설 효과가 본격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자체 신약 파이프라인인 HIV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는 현재 글로벌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며 중간 데이터는 오는 10월 미국에서 열리는 'ID Week 2025'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후 기술이전 협상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단순 위탁생산을 넘어 자체 신약 개발 성과가 부각될 경우 기업가치 제고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말했다.
 
아울러 mRNA/LNP 사업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 수요에 맞춰 포뮬레이션 및 자산개발 프로그램(ADP)을 확장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상업화와 신규 프로젝트 확대가 가시화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에스티팜은 고객사인 글로벌 신약 개발사들의 요구에 맞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Global Top Solution Provider’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는데
이는 단순한 CMO 역할을 넘어 신약 공동개발·기술이전까지 아우르는 포트폴리오 확장을 의미한다.
 
 권해순 유지투자증권 연구원 "RNA 치료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수주 증가,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글로벌 Top CDMO로서 경쟁력 감안 시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의 지속적 상승이 예상된다"며 "에스티팜에게 4분기는 실적 모멘텀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단순 CDMO를 넘어 자체 신약 개발과 신기술 확보까지 병행하는 전략은 에스티팜의 중장기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인”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