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새 정부 들어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건설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잇따른 대형 안전사고와 정부의 ‘산재 무관용’ 방침으로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이 대거 증인석에 소환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24일 국회에 따르면 올해 국정감사는 다음 달 13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일정 확정과 함께 증인 채택 명단도 조만간 마련된다. 특히 환경노동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가 건설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두 상임위는 “반복된 사고에 경영진 책임을 묻겠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CEO 줄소환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국감에서는 포스코이앤씨·태영건설·삼성물산 건설부문 CEO가 증인으로 출석했지만 대형사 전반에 대한 소환은 피했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세종포천고속도로 교량 붕괴, 서울 강동구 지반 침하, 광명 신안산선 도로 붕괴, 오산 옹벽 붕괴 등 인명 피해를 동반한 굵직한 사고가 이어지며 현대건설·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포스코이앤씨 등이 조사 대상에 올랐다. 대통령이 직접 산재 기업으로 언급한 포스코이앤씨, 사조위 조사에서 책임이 확인된 현대엔지니어링 등은 소환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꼽힌다.
건설사들은 국감을 앞두고 의원실 접촉을 늘리며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대형사 관계자는 “특정 기업만 표적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게 솔직한 심정”이라며 “대관팀이 사실상 매일 국회를 오가며 대응 중”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고를 구조적으로 완전히 막기는 어렵지만 정부 기조가 워낙 강하다 보니 ‘반성하겠다’는 입장 외에는 할 말이 없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증인 소환을 피하기 위한 조직개편과 안전관리 강화 조치도 잇따르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최고안전책임자(CSO)를 의결권 있는 사내이사로 선임했으며 대우건설은 CSO 산하에 본사·현장을 총괄하는 임원 2명을 신설 배치했다. 지역 안전팀에는 현장 점검 전담 인력을 추가해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했다.
업계 전반에 감도는 긴장감은 그 어느 때보다 뚜렷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3개월도 남지 않은 올해 국감 대응이 최대 현안”이라며 “10월만 무사히 넘기면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희망으로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