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ve

넷플릭스, 광고 효과 핵심은 '주목도'…14초만 집중해도 '호감도 39% UP'

선재관 기자 2025-09-03 15:38:12
자체 광고 플랫폼 '애즈 스위트' 공개 자체 데이터 기반 광고 효과 측정 시대 열어 넷플릭스가 밝힌 광고 성공 비결
넷플릭스의 광고주 대상 첫 대규모 행사 전경[사진=넷플릭스]

[이코노믹데일리] 넷플릭스가 시청자의 ‘주목도(Attention)’를 광고 효과의 새로운 핵심 지표로 제시하며 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광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2일, 국내 광고주들을 대상으로 한 첫 행사에서 자체 광고 플랫폼 ‘넷플릭스 애즈 스위트(Netflix Ads Suite)’를 공식 출시하고 파편화된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해법으로 ‘몰입과 주목’이라는 가치를 강조했다.

◆ 넷플릭스가 말하는 '주목도'란
 
구자은 넷플릭스코리아 광고 측정 부문 시니어 매니저[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가 말하는 ‘주목도’는 시청자가 콘텐츠에 얼마나 깊이 몰입하고 광고에 얼마나 집중하는지를 정량화한 척도다. 시선 추적, 표정 분석 등 최신 연구 방법론을 통해 시청자의 시선이 스크린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는지 광고에 얼마나 집중하는지를 측정한다. 넷플릭스는 이러한 ‘주목도’가 단순 노출 횟수나 클릭률보다 광고 효과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핵심 지표라고 강조한다.

이춘 넷플릭스코리아 광고 사업 부문 디렉터는 “넷플릭스 광고형 요금제 시청자는 콘텐츠를 오랜 시간 집중하여 시청하고 3시간 이상이 된 시점에 오히려 집중도가 올라가는 경향을 보인다”며 “콘텐츠만큼이나 광고를 집중해서 보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넷플릭스가 콘텐츠 몰입에 기반한 높은 광고 주목도를 강조하는 이유는 넷플릭스 콘텐츠만의 특징과 프리미엄한 광고 환경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다양한 장르와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제공할 뿐 아니라 시청자의 몰입 경험을 방해하지 않도록 광고 노출 시점과 위치를 매우 신중하게 선택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넷플릭스 시청자들은 광고를 억지로 봐야 하는 방해 요소가 아닌 콘텐츠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는 것이 넷플릭스의 설명이다.

◆ 데이터로 증명된 '주목도'의 힘

넷플릭스는 글로벌 리서치 기관 칸타(Kantar)와 협력해 ‘주목도’가 실제로 광고 효과로 이어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했다. 칸타에 따르면 넷플릭스 광고에 14초 이상 집중한 시청자는 1초만 주목한 그룹에 비해 브랜드 호감도가 39%나 더 높게 상승했다.

 
(왼쪽부터) 박영선 넷플릭스코리아 시니어 세일즈 파트너, 송제승 넷플릭스 아태지역 브랜드 파트너십 디렉터[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는 이러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광고주들이 ‘넷플릭스 애즈 스위트’를 통해 캠페인을 더욱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타이틀 셀렉션’을 통해 특정 작품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광고를 노출하거나 시청자의 관심사, 시청 분위기에 맞는 ‘맥락 타겟팅’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특정 작품과 브랜드를 매칭하는 ‘싱글 타이틀 스폰서십’ 등 넷플릭스만의 독자적인 광고 솔루션도 제공한다.

넷플릭스는 이날 행사에서 콘텐츠와 브랜드가 조화를 이룰 때 시청자의 몰입이 더욱 강력한 광고 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양한 파트너십 사례를 소개했다.

한국관광공사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지금 우리 학교는’을 활용한 ‘Escape to Korea’ 캠페인을 통해 K-콘텐츠 팬심을 한국 방문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KT는 애니메이션 ‘이 별에 필요한’과 협업해 ‘미래 AI’라는 기술적 메시지를 감성적으로 풀어낸 뮤직비디오를 선보이며 브랜드 호감도를 높였다. 넥슨은 ‘오징어 게임’ 팬덤을 겨냥해 자사의 온라인 FPS 게임 ‘서든어택’에 ‘오징어 게임’ 세계관을 구현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춘 넷플릭스코리아 광고 사업 부문 디렉터는 “복잡해지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시청자들의 진정한 주목을 얻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넷플릭스는 ‘주목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광고주들이 브랜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고 환경을 만들고 앞으로도 시청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의 이번 발표는 단순히 광고 플랫폼의 기능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파편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넷플릭스가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한 ‘주목도’라는 새로운 지표가 향후 광고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