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카카오모빌리티, 6.6초만에 'OK'…10년 만에 '승차거부' 사라진 카카오T 혁신

선재관 기자 2025-07-07 12:23:27
카카오T 택시 10주년, 평균 배차 6.6초…탑승 성공률 94% '길에서 잡던 택시'를 '부르면 오는 택시'로 바꾸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 T 택시 10주년’ 혁신 성과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호출 서비스 10주년을 맞아 평균 배차 시간을 6.6초로 단축하고 탑승 성공률을 94%까지 끌어올리는 등 지난 10년간의 혁신 성과를 공개했다. 플랫폼 기술을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의 시대를 ‘원하는 곳으로 부르는 택시’로 완전히 전환시켰다는 평가다.

카카오모빌리티가 7일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카카오 T 택시의 평균 배차 시간은 10년 전 19.87초에서 약 67% 단축됐으며 택시를 부른 10명 중 9.4명은 실제 탑승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2019년 도입한 가맹택시 ‘카카오 T 블루’가 있다. 목적지를 표시하지 않는 자동배차 시스템으로 단거리나 비선호 지역의 고질적인 승차거부 문제를 해결했다. 실제로 가맹택시의 단거리 배차 성공률은 일반 호출보다 1.2배 높았으며 파주, 김포 등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도 월등한 성공률을 기록했다.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 자동결제 시스템도 택시 이용 경험을 완성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2018년 8%에 불과했던 자동결제 이용률은 현재 74%까지 증가했다. 이 외에도 가족계정, 해외카드 결제 지원 등 편의 기능을 꾸준히 도입하며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해왔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 T 택시는 지난 10년간 플랫폼 기술과 데이터, 이용자 경험의 삼박자를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로부터 ‘부르면 오는 택시’라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왔다”며 “이용자를 위한 기술적 혁신은 물론 지난해 택시 업계와의 상생 합의를 토대로 출범한 ‘지역참여형 가맹택시’ 모델과 같이 국내 택시 시장의 자체 경쟁력도 함께 높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