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CEO들의 별의 순간] ②화 정몽구 회장 "품질은 현장에서 나온다"

박경아 기자 2025-05-26 16:15:11
"작은 성공에 도취되지 말라"며 현대차의 전면 체질 개선 선언 '글로벌 5위 완성차'를 목표로 한 '10년·10만 마일'의 품질 보장 뚝심
[이미지=챗GPT}

[이코노믹데일리] 누구에게나 별이 빛나는 순간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그 찰나의 선택으로 시대를 바꾸었습니다. 이 기획은 한국을 움직인 리더들의 결단의 순간을 돌아보며, 지금과 같은 혼돈과 위기의 시대 앞에 놓인 기업들의 생존과 도약을 위해 필요한 용기와 상상력을 다시금 떠올려보고자 합니다.<편집자 주>
 
지금은 전 세계에서 한국 자동차의 대명사가 된 현대차. 20여년 전에도 세계 여러 나라에 수출된 현대차는 2000년대 초반까지 그저 ‘가성비 좋은 차’ 정도로 알려졌을 뿐 브랜드 신뢰도는 낮았습니다. 특히 ‘자동차 대량 생산의 원조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는 자녀가 운전면허 따면 사주는 첫 차, 딱 그 정도가 현대차의 위상이었지요.

언제까지나 그 자리에 머물 수 없다는 절박감 속에 새로운 출발을 선언한 것이 2001년 1월 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였습니다. 당시 취임 4년째를 맞은 정몽구 회장은 “작은 성공에 도취돼 있을 때가 아니다”라며 현대차의 전면적인 체질 개선을 선언했습니다. “자동차는 곧 품질이다. 그리고 품질은 책상이 아니라 공장에서 나온다.”

 창업주 정주영 회장의 2남으로 태어난 정 회장은 일반 사원으로 입사해 생산 관리자를 거쳐 경영자가 됐기에 누구보다 현장의 중요성을 잘 알 수밖에 없었겠지요. 품질 경영을 선포한 그는 이후 정기적으로 공장을 직접 찾았습니다. 국내 공장은 물론 터키·인도·체코·미국의 생산 현장까지 돌며 불량률, 조립 공정, 클레임 데이터를 직접 챙겼습니다. 임원에게 보고받지 않고 현장에서 눈으로 보고 판단하는 리더십은 ‘정몽구식 경영’의 상징이 됐습니다.
 
그리고 2003년. 그는 ‘글로벌 5위 완성차’를 목표로 내걸고 국내 최초로 '10년·10만 마일 무상보증 제도'를 미국 시장에 도입합니다. 품질에 자신감이 없다면 불가능한, 도박에 가까운 도전이었습니다.
 
그 결과 2004년 현대차는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자 소비자조사인 JD파워 신차품질조사(IQS)에서 일본 도요타를 제치고 품질 1위에 등극하는 기염을 토합니다. 이 같은 성과는 “현대차는 진짜 품질이 좋은 차”로 미국과 유럽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는 전환점이 됐습니다.
 
이는 단순히 좋은 차를 만든 것이 아니라 국가 브랜드, 산업 자존심, 정몽구 개인 리더십의 승리이기도 했습니다. 그의 품질 경영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고객 신뢰를 얻는 것이 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란 신념이자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의식 개혁이었습니다. 현대차는 이후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 고급차 시장 진입, 글로벌 점유율 확대 등으로 이어졌고, 이는 모두 2004년의 '품질 반전' 성공이 기반이 됐습니다.
 
지금은 아들인 정의선 회장에게 직을 물려주고 명예회장으로 물러난 정몽구 회장의 별의 순간은 “이 정도면 충분하다”는 말 대신 “세계에서 통하려면 세계 최고 품질이어야 한다”는 집념을 뚝심 있게 밀어붙이기 시작한, 그 시간들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