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평은 저조한 수익성 지속, 제한적인 자본 비율 관리 여력 등을 등급 전망 변경 이유로 설명했다.
한신평은 보고서에서 "롯데손보의 최근 총자산 수익률(ROA)는 0.77%로 업계 평균을 하회한다"며 "제도 변화에 따라 보험 손익 변동성이 높은 가운데 퇴직 연금 부문의 이자 부담 및 투자 자산 손실 발생 등으로 저조한 수익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짚었다.
한신평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롯데손보의 지급 여력(K-ICS) 비율은 선택적 경과 조치 적용 전 기준은 전년 대비 49%p 하락한 125.8%로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이다.
또한 한신평은 "2024 4분기 중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에 대해 예외 모형을 적용했으며 원칙 모형을 적용할 경우 지급여력비율은 경과조치 전 107.1%, 경과조치 후 127.4%까지 하락해 업계 평균을 크게 하회한다"고 덧붙였다.
한신평은 "장기 선도 금리 인하, 최종 관찰 만기 확대, 기본자본지급여력비율 규제 지표 도입 등 제도 강화가 예정된 상황에서 후순위채 상환 연기에 따라 자본 시장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어 자본성 증권 추가 발행을 통한 자본 비율 제고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 수준의 열위한 자본 적정성 및 수익 구조가 지속될 경우 신용도 하향 압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