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임효진의 철두철미]철강 불황 뚫은 포스코…구조조정 덕에 웃었다

임효진 기자 2025-04-26 06:00:00
영업익 5680억…철강 부진 속 전분기 대비 6배 증가 비핵심 자산 매각 등으로 현금 확보해 재무 체질 개선
[사진=포스코]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철강 수요 둔화와 원가 상승, 전방 산업의 부진 등 복합 위기 속에서 포스코가 구조조정과 현금 확보 전략을 통해 올해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철강 시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포스코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바탕으로 본업 경쟁력을 유지하며 반등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568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 대비 약 6배 증가했다. 철강 부문의 수익성 회복이 주효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중국의 부진한 철강 수요와 국내외 건설·조선업 위축 등으로 철강업 전반의 체감 경기는 좋지 않았지만 포스코는 지난해부터 진행한 저수익 사업 정리와 고강도 구조개편을 통해 재무 구조를 안정화하며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포스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비핵심 계열사 매각과 자산 매각을 통해 약 2조1000억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 현금은 미국 미시간주 전기로 제철소 신설, 인도 일관제철소 완공, 호주·아르헨티나 자원 프로젝트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글로벌 사업도 재정비에 들어갔다. 인도에서는 일관제철소 상업 가동을 앞두고 있다. 아르헨티나 염호 프로젝트는 이차전지 소재 자립을 위한 핵심 자원으로 꼽힌다. 호주 리튬 프로젝트 역시 기존 철강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신사업과 소재 산업으로 외연을 확장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철강 본업에서는 고급 제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개편해 자동차강판, 친환경 철강재 등 고부가 제품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주요 고객사인 현대자동차그룹과의 관계 강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는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현대차와의 협력은 철강뿐 아니라 배터리 소재, 미국 외 지역의 협력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철강에서 이차전지 소재까지 아우르는 밸류체인 통합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실적 반등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변동성 등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본다. 다만 고강도 구조조정과 선제적 자산 리밸런싱을 통해 마련한 현금 유동성과 핵심 사업 중심의 전략적 재편은 포스코가 철강 산업의 저성장 국면을 돌파하는 데 주요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는 위기 국면에서 과감한 체질 개선과 투자 전략을 통해 실적 하방을 방어했다”며 “향후에도 고급 철강 중심의 제품 경쟁력 강화와 전기차, 이차전지 중심의 신산업 전환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